부산시민 10명 중 8명이 코로나19 확산에 두려움을 느낀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이런 두려움은 일상 활동을 위축시키고 도시 활력을 악화시켜 지역 경기를 얼어붙게 하는 원인으로 지적됐다.
부산연구원은 23일 코로나 관련 시민 설문 결과와 코로나 극복을 위한 부산시 정책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연구원이 최근 부산 시민 103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81.1%가 코로나19 확산에 두려움을 느꼈다. 자신의 감염(71.2%) 우려보다 주변 사람들의 감염(82.4%)을 더 우려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불확실성에 대한 불안감(59.3%), 과한 스트레스로 신체적 이상반응(29.4%) 등이 생겼다고 답한 시민도 있었다.
코로나19 확산은 시민 일상생활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감염 우려로 외출에 지장(86.2%)을 받고 계획한 일에 차질(85.6%)이 생겼으며 병원 방문(79.3%)과 대중교통 이용(77.9%)이 망설여진다고 답했다.
더불어 가계소득(매출액) 감소(46.9%)와 일자리와 폐업에 대한 걱정(44.0%)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소득이 줄었다는 비율은 자영업자(83.5%)가 압도적이었다. 일자리와 폐업에 대한 걱정은 40대(50.2%), 자영업(64.6%)에서 높았다.
시민들은 부산시 대책 가운데 마스크 등 위생용품의 사재기 단속 강화(77.2%), 방역 및 클린 존 인증(76.4%), 저소득층 위생용품 지원(67.4%) 등 방역 관련 대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반면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 경영 지원(62.1%) 등은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부산연구원은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시민 불안 해소와 경제적 피해 지원 등 두 방향의 대응을 주문했다. 시민 불안 해소를 위해 사회적 관계 맺기 캠페인 전개, 심리적 방역을 위한 심리상담 지원, 가짜뉴스 대응 등 방안을 제시했다. 트라우마 극복 등을 지원하는 재난심리지원단 운영체계 구축도 제안했다. 경제적 피해 지원 방안으로는 재난기본소득 지급 검토와 착한임대인 운동, 자영업자 고정비 지원책 마련 방안을 주문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