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임상위 “인구 60% 집단면역 가져야 ‘종식’…장기전 대비”

입력 2020-03-23 15:11 수정 2020-03-23 17:53
23일 오전 대구시 중구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에서 방호복을 입은 의료진이 병동으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중앙임상위)는 23일 인구의 60%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한 집단면역(무리면역)을 가져야 종식될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전’에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감염병의 특성상 가을철에 ‘대유행’이 찾아올 가능성에 대해서도 경고했다.

중앙임상위는 이날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코로나19 팬데믹의 이해와 대응전략’ 온라인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오명돈 중앙임상위원장은 “인구 60%가 면역을 가졌을 때 (코로나19의) 확산을 멈출 수 있다”며 “인구집단 면역을 일시적으로 끌어올리는 방법은 예방접종밖에 없는데 코로나19 백신이 나오려면 12개월은 기다려야 한다”고 설명했다.

집단면역 60%는 코로나19의 재생산지수(확진자 1명이 감염시킬 수 있는 사람 수)를 2.5명이라고 가정했을 때 산출된 수치다. 일반적으로 면역력은 예방접종을 하거나 병에 걸린 이후 자연적으로 항체가 형성되면서 얻을 수 있다.

이런 지적은 코로나19의 종식을 위해 ‘집단면역’을 기르자는 것은 아니다. 집단면역을 얻기 힘든 상황에서 코로나19 유행이 지속할 것으로 보이므로 방역대책을 새로 정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앙임상위는 지금처럼 해외 유입을 차단하고, 확진자의 접촉자를 찾아 지역사회 전파를 차단하는 ‘억제정책’을 유지할지, 학교 개학 등과 같은 일상생활을 회복할지 결정해야 할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오 위원장은 “그동안 정부는 바이러스에 노출되지 않는 억제 정책을 펴왔고, 이를 통해 (확산이) 어느 정도 통제됐다”며 “하지만 모든 방역 조치를 총동원하는 억제조치는 계속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억제정책에서는) 사람들이 감염되지 않다 보니 면역력도 갖고 있지 않게 된다”면서 “결국 집단면역을 올려야 유행이 종식되는데 그러기 위해 억제정책을 풀면 유행이 다시 온다는 ‘정책적 딜레마’에 빠질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억제정책을 지속할지 완화할지는 건강, 사회, 경제, 문화,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고려해 결정해야 한다. 방역정책의 결정은 과학적 근거와 사회 구성원의 이해와 합의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개학과 관련해서는 학교 내 코로나19 확산이 이뤄지지 않도록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고 했다. 오 위원장은 “홍콩 연구에 따르면 인플루엔자는 학교가 문을 닫았다 열었을 때 몇 주 동안 감염자가 늘어났다”며 “우리나라도 개학하면 코로나19 환자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다만 “코로나19는 메르스처럼 종식할 수 없기 때문에 장기전에 대비해야 한다”면서 “개학했을 때 학급 간, 학년 간 전파가 이뤄지지 않도록 미리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코로나19가 가을철에 다시 유행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됐다. 방지환 중앙감염병병원 센터장(서울의대 감염내과 교수)은 “세계적 대유행 상황에서 코로나19는 사람들이 웬만큼 걸리든 효과적인 백신이 나오든 해야 끝이 난다”며 “아무리 빨라도 가을까지는 백신을 만들 수 없기 때문에 가을 유행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 위원장 역시 “의료진 보호구, 장비를 지금부터 충분히 준비해야 하고, 궁극적으로는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했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