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전세 더 오를 수도… 전세 비중 ↑ 월세 비중 ↓

입력 2020-03-23 09:44


서울 아파트의 임대차 거래에서 전세 비중은 증가하고 월세 비중은 꾸준히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 전세수요는 0%대 금리를 활용해 전세로 갈아타려는 월세 세입자와 미래 불확실성을 이유로 매수를 미루는 수요 등으로 인해 당분간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114는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의 전월세 거래건수를 분석한 결과, 전세비중은 2015년 65.3%(10만2630건)로 저점을 찍은 후 2019년에는 72.4%(12만5071건)까지 높아졌다고 23일 밝혔다.

서울 집값이 급등했던 2018년에는 전세 거래비중이 70%대로 올라서면서 전년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이처럼 전세 거래비중이 늘어난 것은 2015년 이후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이 꾸준히 증가한데다 집값 상승기에 시세차익을 노린 갭투자가 성행하면서 시중에 전세물량이 많이 풀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올해 전세 공급은 낮은 은행이자와 보유세 부담으로 월세수익을 원하는 집주인들이 늘면서 감소할 전망이다. 또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은 전년과 비슷한 4만여 가구로 추산되지만 양도세 비과세 거주요건 2년을 충족하기 위해 입주하는 집주인들도 상당수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일시적 수급불균형에 따른 전셋값 상승 우려도 커지고 있다.



전세와 달리 서울 아파트 월세 거래비중은 낮아졌다. 유형별로는 준전세 거래 감소가 두드러졌다. ‘준전세’는 보증금이 월세의 240개월치를 초과하는 월세를 말하는데, 보증금이 커 전세로의 전환이 비교적 용이한 편이다. 서울 아파트의 준전세 거래비중은 2016년 50.1%(2만6964건)를 찍은 후 꾸준히 낮아지면서 2019년 38.7%(1만8485건)를 기록, 전체 월세 거래비중의 하락세를 견인했다.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준전세 세입자 가운데 대출을 받아 전세로 갈아타려는 수요가 늘어 거래비중이 낮아진 것으로 추정된다.

김태희 선임기자 t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