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문을 닫은 음식점, 치킨집, 카페 등이 한 해 전보다 9% 늘었다.
23일 서울열린데이터광장의 서울시 식품위생업소 현황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달 1~20일 1600곳이 폐업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1468곳이 문을 닫은 것과 비교하면 9.0%(132곳) 증가했다.
음식점, 카페, 술집, 편의점이 속한 식품위생업은 진입 장벽이 낮아 자영업자들이 많이 몰리는 대표적 업종이다. 법인이 운영하는 직영점도 일부 있지만, 개인사업자와 가맹점주 등 자영업자들이 하는 점포가 대부분이다. 외식 업황이 나빠진 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매출 부진이 본격화한 탓에 폐업한 식당들이 지난해보다 더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이달 들어 사라진 점포에는 2008년 이전에 개업해 같은 자리를 지켜오던 식당 114곳도 포함돼 있다.
1987년 5월 강남구 신사동에서 시작해 영업 34년 차였던 '압구정춘천막국수'는지난 6일 폐업 신고를 했다. 1992년 왕십리에서 문을 연 '원주할머니 소곱창구이'(구 원주집)도 지난 20일 문을 닫았다. 1999년 개업한 마포구 '풍락반점', 2001년 개업한 서대문구 '왕자떡볶이', 2005년 종로에서 시작한 '소금이집'도 며칠 새 자진 폐업신고를 냈다. 직장인들이 밀집한 서울 중심부와 대학가를 가리지 않고 끼니를 해결하러 찾던 곳들이 줄줄이 사라졌다.
20일 동안 폐업한 식품위생업소 1600곳을 주요 업체별로 보면 한식집이 274곳이었다. 치킨집과 호프집은 83곳이었고 파스타 등을 파는 경양식집은 73곳이 폐업했다. 분식집은 62곳, 일식집·횟집은 41곳, 중식당은 21곳이었다.
카페·커피숍은 108곳이나 문을 닫았다. GS25, CU, 세븐일레븐 등 편의점은 20곳이 폐업했다. 강남구, 성북구, 서대문구 등에 있는 단란주점과 룸살롱 아홉 군데도 사라졌다. 핫도그나 어묵 등을 파는 기타 휴게음식점도 55곳이 사라졌다.이밖에 냉면집, 호텔 뷔페, 아이스크림점, 동남아음식점, 감성주점 등 854곳이 폐업했다.
구별로 보면 강남구(195곳), 송파구(123곳), 서초구(101)에서 폐업한 업소가 가장 많이 나왔다. 주거지가 밀집해 있는 강동구(95곳), 양천구(76곳)에서도 폐업이 속출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