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외교 수장, 코로나19 대응 회의…강경화 “충격 최소화해야 한다”

입력 2020-03-20 16:15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종합상황실에서 열린 한중일 외교장관 화상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중·일 외교 수장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처음으로 머리를 맞댔다. 코로나19발 경제·사회 교류 중단에 따른 위기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에 따르면 강경화 장관은 20일 오전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과 화상회의를 진행했다. 코로나19 사태 발생 이후 세 나라 외교 수장이 공식적으로 협의한 것은 처음이다.

강 장관은 모두발언에서 “이 문제(코로나19)는 3국 협력의 핵심 관심 분야인 세 나라 국민의 삶과 직결된 문제”라며 “우리 3국은 코로나19 확산 차단과 함께 이번 사태로 인한 국민 간 교류 협력의 위축, 또 경제·사회적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필요성에 대해서도 함께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3국간 협력을 통해 코로나19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경제·사회 교류 중단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의미다

왕이 부장과 모테기 외무상은 자국의 방역 상황을 설명했다. 또 코로나19 대응에 관한 국제사회와의 경험 공유 및 협력 강화, 한·중·일 보건당국 간 협력 강화 필요성 등도 언급했다. 외교부는 “세 장관이 3국 보건장관회의 개최에 대한 지지 입장을 표명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회의로 기대를 모았던 기업인 입국 제한 예외 인정에 관한 구체적인 논의는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필수적인 경제활동이 위축되는 것은 모두에게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과 전 세계적으로 경제 후퇴 우려가 심각해진 만큼 (기업인 입국 제한 등) 제한이 최소화된 수준에 그쳐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면서도 “오늘 화상회의는 각론으로 세부 사항을 이야기하는 형태는 아니었다”고 말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