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20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국면에서 일부 교회들의 이번 주말 실내예배 강행 움직임과 관련해 자제를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어제 신규 확진자 수가 다시 100명 아래로 떨어졌다. 주말을 넘어 계속 줄어들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이같이 밝혔다고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문 대통령은 “성남의 한 교회와 대구 요양병원의 집단 감염으로 신규 확진자 수가 다시 늘어나는 것을 보면서 국민들 모두가 안타까웠을 것이다. 그런 일은 언제든지 되풀이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다시 주말을 맞았다. 많은 교회들이 협조해 주셔서 감사드린다. 그러나 여전히 예배를 열겠다는 교회들이 적지 않아 걱정”이라며 “종교집회에 대해 박원순 서울시장과 이재명 경기지사가 취하고 있는 조치를 적극 지지한다. 중앙 정부도 지자체에만 맡기지 말고, 지자체의 조치를 적극적으로 뒷받침해주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현재 서울시는 일부 개신교회의 현장 예배 강행 배경에 재정적 문제가 있다고 보고 상위 교단 등에 협조를 요청한 상태다. 서울시는 실내 예배에 대해 행정적 제재까지는 가하지 않고 있다. 다만 발열 확인, 소독제 비치, 신도 간 거리 유지, 단체 식사 금지 등 가이드라인 준수를 권고하고 있다. 경기도는 방역 지침을 위반한 교회 137곳에 밀집 집회를 제한하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또 도 차원의 지침을 위반한 집회로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 방역과 치료비용에 대한 구상권을 청구할 계획이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당부가 종교의 자유를 침해하려는 의도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코로나 방역에 중요한 분수령 맞이했다. 한때 확진자가 매일 100명이 넘다가 가까스로 80명대로 줄었다”며 “실내 예배 자제는 신도의 건강을 위한 것이지, 종교활동 자유를 침해한 것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의 당부는) 일부 교회에 국한된 문제”라며 “코로나19 방역과 관련해 큰 불은 껐고, 잔불을 잡는 과정인데 (예배가) 돌발변수가 되지 않길 바란다”고 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