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코로나19 대응 총력전에 나섰다. 밖으로는 미국인과 외국인의 출입국을 차단하며 단단히 빗장을 걸고, 안으로는 금융위기 때보다 더 많은 긴급예산을 풀어 기업과 가계를 지원할 방침이다.
미 국무부는 19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전 세계 모든 국가에 대한 여행경보를 최고등급(4단계)인 ‘여행금지’로 격상한다고 밝혔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중국·이란·몽골 전역과 한국·이탈리아 일부 지역에 내려졌던 여행금지 경보를 모든 국가로 확대한 것이다. 국무부는 “해외여행을 선택한다면 여행 계획은 심각한 지장을 받을 수 있다”며 “무기한 미국 밖에 머물러야 할지도 모른다”고 경고했다.
미국의 여행금지 경보는 통상 분쟁이나 자연재해, 심각한 질병이 발생한 지역에 발령됐다. 코로나19 사태가 터지기 전에는 북한과 이란 리비아 아프가니스탄 소말리아 시리아 등 10여개국이 대상이었다. AP통신은 미국이 전 세계를 대상으로 이런 조치를 취한 건 전례가 없는 일이라고 평가했다. 여기에 더해 미국 내 일부 지역에 대한 여행이 제한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앞서 미국은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중국과 유럽에서 오는 외국인의 입국을 차단했고, 상당수 국가에서 정규 비자 업무도 중단했다.
미 정부의 고강도 봉쇄정책은 코로나19가 날로 확산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20일 오전 세계 각국의 코로나19 상황을 실시간 집계하는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미국의 확진자는 1만4000명이 넘었고 이중 5000명 이상이 사망했다.
미 의회는 1조달러(약 1260조원) 규모의 초대형 긴급예산안 심의를 앞두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 등에 따르면 공화당이 제출한 예산안은 현금 직접 지급, 피해산업에 대한 대출이 골자다.
예산안에는 개인소득 7만5000달러(약 9400만원) 이하인 사람에게 1인당 1200달러(약 150만원), 결혼한 부부에게 2400달러를 직접 지급하는 방안이 담겼다. 또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은 항공업계와 호텔, 크루즈 업체에는 대출 또는 대출보증을 통해 유동성을 지원하는 안이 마련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요청으로 공화당과 미 정부가 함께 만든 이 예산안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2월 의회를 통과한 8310억달러(약 1000조)보다 액수가 더 많다.
미치 매코널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는 민주당과 법안 처리문제를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 소속 낸시 펠로시 하원 의장은 “근로자를 보호하는 강력한 조항이 포함돼야 한다”며 “우리는 초당적 방식으로 협력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미 의회는 이미 이달에만 두 차례 각각 83억달러(약 10조), 1000억달러(약 126조원) 규모의 코로나19대응 예산안을 처리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