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3회 칸 국제영화제가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연기됐다. 베를린·베네치아와 함께 세계 3대 영화제로 평가되는 칸 영화제의 연기는 처음이다.
칸 영화제 집행위원회는 19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오는 5월 12∼23일로 예정된 영화제를 예정대로 진행할 수 없게 됐다”며 “다양한 옵션을 고려하고 있다. 6월 말부터 7월 초까지 개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집행위는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에서 프랑스 안팎의 보건 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하며 개최 여부를 평가할 계획이다.
칸 영화제는 1946년에 시작돼 매년 5월 프랑스 남부 칸에서 열리고 있다. 앞서 취소된 적은 있다. 1948년과 1950년에 재정적인 문제로 개최되지 않았다. 1968년 5월 학생운동으로 영화제 기간 중 취소됐다. 연기 사례는 올해가 처음이다.
칸 영화제의 강행 여부는 최근 세계 영화계의 논쟁거리였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이달 들어 유럽을 중심으로 강해졌지만, 칸 영화제 집행위는 예정대로 강행하겠다는 의사를 굽히지 않았다. 하지만 프랑스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9000명에 이르고, 정부 이동금지령이 시행되자 집행위도 개막 시기를 미루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했다.
집행위는 잠정적으로 개최 시기를 6월 말부터 7월 초 사이로 보고 있다. 이는 오는 9월 2일에 개막하는 이탈리아 베네치아 국제영화제, 이로부터 8일 뒤인 같은 달 10일 캐나다 토론토 국제영화제의 일정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확산세에 따라 가을 개막, 혹은 취소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독일 베를린 영화제의 경우 지난 1일까지 열흘간 정상적으로 개최됐다.
칸 영화제의 연기는 세계 영화의 개봉 시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칸 영화제 출품과 경쟁 부문 초청은 중요한 마케팅 요소로 작용한다. 5월 중순의 영화제가 6월 하순 이후로 미뤄졌고, 이마저도 기약할 수 없게 되면서 세계 영화 개봉일 결정에 작지 않은 변수가 생겼다. 국내 영화계도 칸 영화제에 30여편을 출품해 선정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