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참여하는 비례연합정당에 합류할지를 두고 극심한 갈등을 겪던 민생당이 20일 불참을 결정하면서 갈등이 일단락됐다. 민생당은 총선체제에 돌입하기 위한 협의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바른미래당계 김정화 공동대표화 민주평화·대안신당계 박주현 공동대표, 장정숙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전날 저녁 물밑 접촉을 통해 뜻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 공동대표는 “그간 당 지도부가 시민과 언론인들에게 볼썽사나운 모습을 보인 것에 대해 당대표로서 사죄와 반성의 말씀을 드린다”고 사과했다. 이어 더불어시민당과 미래한국당을 겨냥하면서 “거대 양당이 의석수만을 위해 만든 위성 정당이 구태정치의 발원지”라며 “위성 정당이 쿠데타를 잠재우려 본가의 충성파를 파견한다고 한다. 문재인 대통령의 복심인 양정철 민주연구원장이 감독과 각본을 도맡은 기획극”이라고 맹비난했다.
박 공동대표는 “비례민주연합은 오랫동안 청년운동과 환경운동에 매진해온 미래당과 녹색당 등이 탈퇴하면서 미래한국당과 비슷하게 성격이 바뀌었다”며 “친문비례 정당과 정의당이 포괄하지 못하는 제3지대를 묶어내기 위해 민생당 중심으로 한 제3지대의 선거연합이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더불어시민당에 참여하지 않은 소수정당과의 연대를 계속해서 추진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장 원내대표도 “반목과 갈등으로 집행된 점에 대해 최고위의 한 사람으로서, 민생당의 원내대표로서 당원과 국민에게 사죄드린다”며 일어나서 고개를 숙였다. 장 원내대표는 “비례연합정당 문제는 더 이상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 이제 우리 역량을 총동원하는 일에 집중하자”며 “손학규 전 대표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앞으로 큰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정당과 관련한 갈등은 일단락됐지만, 비례대표 연임 문제와 공천관리위원회 구성 문제는 아직 풀어야 할 숙제다. 민생당은 공관위와 선거대책위원회 등을 구성해 선거체제를 출범시킬 예정이다.
앞서 민생당은 연합정당 참여 여부를 놓고 극심한 내홍을 겪었다. 지난 18일 김 공동대표가 연합정당에 참여키로 한 의원총회 의결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최고위 자리를 박차고 나갔고, 박 공동대표와 장 원내대표가 다시 긴급 최고위를 열어 의결을 강행하자 당직자 간에 몸싸움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