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바뀐 수업 방식에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특히 실습 과목을 들어야 하는 대학생들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국민일보가 지난 19일 취재한 대학생들은 비대면 수업에 불만을 토로했다. 성균관대학교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에는 “아이캠퍼스 수업(인터넷 강의)이 버퍼링 걸려서 아예 들을 수가 없다. 진짜 듣기 싫다”는 글이 잇따르고 있다. 성균관대에 다니는 김모(22)씨는 “버퍼링 문제 관련 문의를 했더니 ‘현재로선 이용자가 적은 시간대에 접속해서 듣는 게 최선일 것 같다. 관련 회사랑 협의 중이다’라는 답이 돌아왔다. 명확한 개선방안을 빨리 제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성균관대학교 총학생회는 이날 페이스북 페이지에 올린 글에서 “설문조사를 토대로 교무처에 요구한 대표적인 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지난 학기 강의저장 수업 및 온라인 수업 재사용 ▲영상 녹화 및 음성 녹음, 서버 등의 기술적 문제 ▲외부 영상 업로드, 강의 자료 누락 등 강의 자체의 문제”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교무처로부터 ▲3주 차 이후 강의의 신규 제작 ▲아이캠퍼스 서버 확충을 위한 노력 ▲원활한 수업 제작을 위한 매뉴얼 발송 및 교수님 대상의 워크숍 진행 약속을 받았다”고 적었다. 토론 수업 진행 불가와 프로젝트 진행 어려움에 아쉬움을 토로하는 학생들도 있었다.
특히 실습 과목을 해야 하는 학생들이 타격을 입었다. 서울에 있는 S대학교 의류학과에 다니는 신모(26)씨는 “원래는 실습을 학교 강의실에서 했다. 하지만 비대면 수업을 시작한 뒤에는 강의실이 닫혀 실습을 못 하고 있다”며 “실기 수업은 눈으로 보고 교수님들께 직접 물어보면서 틀린 점은 바로바로 수정해서 배워야 한다. 그런데 지금은 물어볼 수 없으니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신씨는 개강이 밀릴수록 커지는 과제 부담도 호소했다. 그는 “의류 제작하는 수업에서는 의상 한 벌을 꼭 만들어야 한다. 개강이 밀린다고 의상을 반쪽밖에 만들 수는 없지 않느냐”며 “원래 커리큘럼대로 의류를 만들어도 밤을 꼴딱 새우는데, 대면 수업이 연기될수록 실습 시간이 줄어드는 셈이라 부담이 크다. 밀린 실습을 나중에 몰아서 할 걸 생각하니 무섭다”고 말했다.
서울에 있는 H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에 다니는 김경환(24)씨는 “실험 마지막에는 직접 납땜질해서 기판을 만들어 가야 하는데 (개강이 연기되면) 그런 걸 못할 수도 있다”며 “저는 그나마 관련 수업을 들은 적 있어서 사정이 조금 나은데, 실습을 못하게 되면 다른 애들이 아주 답답할 것 같다”고 했다.
서울에 있는 K대학교 의대에 다니고 있는 박현욱(24)씨도 “개강이 연기되면서 6주간 원하는 병원과 과에서 실습할 수 있는 시간이 4주로 줄어들었다. 실습 기간이 더 줄어들 가능성도 있다”며 “환자들을 직접 만나서 경험을 쌓고 의사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이 사라져서 아쉽다”고 말했다. 박씨는 이어 “코로나19 때문에 1학기와 2학기 사이에 있는 방학도 3주에서 1주로 줄어들었다. 쉴 시간이 부족해져서 번아웃을 걱정하고 있다”고 했다.
학생들 사이에서는 등록금 일부 환불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신씨는 “실기를 중점으로 두는 과는 강의실에서 실습에 필요한 기구들을 사용해서 등록금이 더 비싸다”며 “비대면 수업을 진행하는 동안 강의실을 아예 사용하지 못하니 수업이 제대로 이뤄질 수가 없다. 등록금을 일부 환불해줬으면 좋겠다”고 주장했다.
서울에 있는 Y대학교에 다니는 김모(25)씨도 “같은 돈을 냈는데 누릴 수 있는 건 질이 떨어지는 비대면 수업밖에 없다”며 “학교 생활도 못한다. 심지어 도서관 대출반납도 자유롭게 안 된다. 2019년과 똑같은 등록금을 낸 게 억울하다”고 말했다.
지난달 29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도 등록금 인하를 요구하는 글이 올라왔다. 청원인은 이 글에서 “온라인 강의는 기존보다 질적으로 강의 수준이 떨어지기 때문에 학생들은 등록금 인하로 이에 대해 일부 보상받을 필요가 있다”며 “또 개강 연기로 대부분의 대학이 학기를 14~15주로 단축했다. 이에 대해 학생들은 학습권 보장 문제로 보상받을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 글에는 20일 오전 9시 기준 9만 7000여명이 동의했다.
박준규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