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파주시와 고양시가 19일 통일부로부터 기초자치단체 중 첫 ‘대북지원 사업자’로 지정돼 독자적인 남북교류협력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
대북지원 사업자 지정 제도는 민간 차원에서 이뤄지는 대북지원 사업의 질서와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2011년부터 운영됐다.
지금까지는 서울, 경기, 인천, 충남 등 광역자치단체 일부만 대북지원사업자로 지정받아 기초지자체는 남북교류협력사업을 진행하려면 반드시 민간단체를 통해야만 했지만, 이번 ‘대북지원 사업자’ 지정으로 직접 사업 추진이 가능해져 시가 추진하고 있는 대북사업이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파주시는 올해 ▲개성시와 농업협력 사업 ▲해주와 문화교류 ▲남북공동 학술 포럼 ▲인도적 지원사업 등 남북교류 협력 사업을 준비 중이다.
고양시는 ▲남북협력기금 80억원 적립 ▲북한 아동기관 영양식 및 필요물자 지원 ▲자전거 평화 대장정 등 스포츠·문화교류 추진 ▲대형병원 의료 인프라를 활용한 남북보건의료 협력 기반 구축 등 남북교류 협력사업 발굴을 선도하며 구체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최종환 파주시장은 “지금은 코로나19 확산방지에 모든 행정력을 기울이고 있고 남북경색 기조도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주변국 역학관계에 따라 부침이 많은 남북관계는 언제든지 변할 수 있다”며 “남북관계 회복에 대비해 남북교류 협력 사업을 차근차근 준비하는 한편 대북지원사업자 지정으로 파주시가 안정적으로 인도적 지원 및 개발협력 사업추진이 가능한 만큼 새로운 남북교류 협력 사업을 적극 발굴하는 등 다양하고 체계적인 평화협력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재준 고양시장은 “고양시는 지금까지 최접경 지역에 위치한 지자체로서 사명감을 갖고 남북교류협력사업을 추진해 왔다”며 “이번 대북지원사업자 지정을 계기로 남북협력을 향한 보다 혁신적이고 새로운 시도를 끊임없이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지자체 중 대북지원 사업자로 지정된 곳은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충청남도 등 광역 지자체 4곳이며, 이번에 기초지자체 최초로 파주시와 고양시가 지정됐다.
파주=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