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호흡부전’ 17세 청소년, 코로나 아닌 중증 폐렴으로 사망

입력 2020-03-19 17:58 수정 2020-03-19 18:04
18일 오후 대구시 남구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실에서 의료진이 분주히 오가고 있다. 보건 당국은 이날 폐렴 증세를 보인 17세 소년이 영남대병원에서 사망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감염 여부를 검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사망이 의심돼 사후 진단검사를 받은 17세 환자가 최종 음성 판정을 받았다. 전문가들은 ‘코로나 폐렴’이 아니라 중증 폐렴으로 인한 급성호흡부전이라고 봤다. 이번 검사 결과가 나오기까지 약 하루동안 전국 학부모의 불안감은 최고조에 달했다. “사실 양성인데 정부가 숨긴다”는 음모론까지 나올 정도였으나 음성이 확인되면서 이들은 가슴을 쓸어내렸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전날 대구에서 숨진 17세 사망자에 대해 코로나19 진단검사를 실시한 결과 최종 음성으로 확인됐다고 19일 밝혔다. 방대본은 환자를 치료했던 영남대병원으로부터 사망자의 호흡기 세척물, 혈청, 소변 등 잔여검체를 인계받아 분석했다. 검사의 신뢰성을 위해 서울대병원,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에도 같은 검사를 의뢰했고, 모두 음성으로 확인됐다.

권준욱 방대본 부본부장은 브리핑에서 “역학조사팀이 환자의 임상 의무기록 등을 확보해 임상정보, 검사 결과를 종합해서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에 최종적으로 사례 판정하도록 의뢰한 결과,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이 아니라고 결론내렸다”고 설명했다. 민관 진단검사전문가로 구성된 코로나19 진단관리위원회에서도 전원 음성 판단을 내렸다.

사망자는 지난 13일부터 18일까지 13차례에 걸쳐 코로나19 검사를 받았다. 이 중 마지막 검사에서 소변, 가래 검체가 양성소견을 보여 병원은 방대본에 검사를 의뢰했다. 유천권 방대본 진단분석관리단장은 “검체 재판독 결과, 환자의 검체가 전혀 들어가 있지 않은 대조군 검체에서도 PCR 반응이 나와 진단검사 실험실의 오염, 기술 오류가 의심됐다”고 말했다.

사망자가 코로나19에 감염되지 않은 것으로 결론나면서 전문가들은 이 환자의 직접적인 사망 원인이 ‘중증 폐렴에 의한 급성호흡부전’이라고 봤다. 중앙임상위TF팀장인 방지환 서울대의대 감염내과 교수는 “겨울에서 봄철로 넘어가는 환절기에는 급성호흡기질환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독감)나 파라인플루인자, 메타뉴모바이러스 등 바이러스질환과 마이코플라즈마 등 세균들이 급성 폐렴을 일으킬 수 있다”며 “이로 인한 급성호흡부전, 장기 기능 저하로 젊은 환자도 사망에 이를 수 있다”고 말했다.

방역 당국이 영남대병원 실험실을 문제삼자 이 병원이 여태껏 진행했던 진단검사의 정확도에도 의구심이 제기됐다. 방대본은 영남대병원의 코로나19검사 진행을 잠정 중단하고, 민관 전문가 파견해 실험실 정도 관리를 지원할 예정이다. 권준욱 부본부장은 “(실험실의) 잘못이 구조적으로 발생했는지는 조사해서 과거에 이뤄진 진단검사도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전문가들은 실험실의 문제라기보다 검사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생기는 ‘랜덤에러(불가피한 오류)’라고 봤다. 성흥섭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는 “모든 검사는 일정한 비율로 가짜 음성, 양성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고, 여기에는 시약의 종류, 검체 채취방식이나 시간 등 다양한 변수가 영향을 미쳐 그 원인을 찾기도 어렵다”고 분석했다.

한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도 “검체에서 채취한 바이러스는 소량이기 때문에 증폭검사를 하게 되는데 검사하는 용액에 양성 유전자가 남아있거나 다른 원인으로 섞여들어가면 오류가 생길 수 있다”며 “합리적 수준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이며, 한번의 오류 때문에 다른 검사들도 잘못된 결과가 나왔을 것으로 예상하기는 어렵다”고 전했다.

최예슬 기자,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