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주받은 올림픽’이라고 망언을 해 논란이 된 아소 다로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이 하루 만에 의도가 없었다고 변명했다. 오는 7월 개막을 앞둔 도쿄올림픽·패럴림픽의 연기·취소론이 확산하는 상황에서 논란이 일자 뒤늦게 선을 그은 것이다.
19일 NHK에 따르면 아소 부총리는 이날 각의(국무회의)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전날 발언에 대해 “의도는 특별히 없다. 1940년 도쿄동계올림픽이 취소됐으며,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때는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에 항의해 일본은 참가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아소 부총리는 지난 18일 참의원 재정 금융위원회에 참석해 과거 올림픽 취소 사례를 거론하며 “(1980년에서)40년이 지나면 올해다. ‘저주받은 올림픽’이라고 하면 언론이 좋아할 만한 말이지만 현실이 그렇다. 40년마다 문제가 일어나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한 바 있다.
그는 “최근 올림픽 스포츠 관계자와 이야기 하던 중 그 이야기가 나왔다. 딱 40년 마다 재수가 나쁘다는 등 40년마다 여러 가지 있다는 이야기였다. 그뿐인 이야기다”고 변명했다.
숱한 실언으로 논란의 중심에 서온 아소 부총리는 ‘망언 제조기’로 불린다. 그는 지난 1월 “일본은 2000년간 하나의 민족”이라고 말해 도마 위에 올랐고, 지난해 2월에는 저출산·고령화 문제에 대해 “아이를 낳지 않는 쪽이 문제”라고 해 2019년 최악의 성차별 발언으로 꼽히기도 했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