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시설·병원 관리소홀 집단감염 발생 시 ‘법적조치’ 대구시 강수

입력 2020-03-19 12:18 수정 2020-03-19 14:58
한사랑요양병원 출입구를 경찰이 통제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신천지 신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전수 조사를 마친 대구시가 요양시설·병원, 사회복지생활시설 등 고위험시설로 전수조사를 확대하자 다시 추가 확진자수가 많아지는 추세다. 시는 전수조사 과정에서 감염사례가 다수 확인된 만큼 시설과 병원의 관리소홀로 대규모 감염병 확산이 발생할 경우 책임자에 대한 법적 조치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19일 시에 따르면 전수조사 대상인 67개 요양병원과 330개 사회복지시설 3만3628명 중 60% 정도인 2만448명(종사자 1만422명, 생활인·입원자 1만26명)이 진단검사를 마쳤다. 일부는 결과가 나왔고 나머지는 진단검사 기관에서 결과를 분석 중이다.

이날 수성구 김신요양병원 2명, 달성군 대실요양병원 2명, 중구 대한요양병원 1명, 북구 배성병원 1명, 동구 이시아요양병원 1명 등 요양병원 5곳에서 7명의 추가 확진자가 발생했다. 지금까지 서구 한사랑요양병원 75, 김신요양병원 34명, 북구 배성병원 9명, 수성구 수성요양병원 6명, 동구 진명실버홈 2명, 수성구 시지노인병원 5명 등 10여개 요양병원에서 137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특히 한사랑요양병원의 경우 종사자 중 일부가 증상을 3~10일 전부터 느꼈지만 바로 검사를 받지 않아 논란이 됐다. 대구시가 법적 조치까지 꺼낸 것은 바로 시설과 병원 종사자들의 철저한 관리를 종용하기 위한 것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본인뿐만 아니라 환자 상태를 면밀히 관찰해 이상 징후 발생 즉시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또는 가까운 보건소에 신고해야 한다”며 “책임자들은 종사자의 감염예방 교육을 강화하고 종사자 건강에 이상이 있을 경우 업무에서 배제하고 진단검사 받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구시는 요양시설·병원 등에 대한 전수조사를 마무리한 후 위험성이 높은 시설과 집단을 선별해 추가적인 전수조사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또 요양시설·병원 전수조사 후에도 추가 감염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관리·감독할 방침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오늘 대구 추가 확진자가 97명인데 대폭 증가한 원인은 한사랑요양병원 확진환자 57명 등 요양시설·병원 전수조사 과정에서 확진된 환자들이 포함됐기 때문이다”며 “이번주 중으로 전사조사를 마무리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