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취소 2500건·피해액 500억… 텅 빈 예술인 지갑

입력 2020-03-19 09:57
공연 취소 공지가 붙어있는 대학로 한 소극장. 뉴시스

올해 1~4월 공연·전시 피해액이 5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는 지난 9일부터 나흘간 회원협회 10곳 등 전체 회원 130만명을 대상으로 공연·전시 상황을 조사하고 ‘코로나 19 사태가 예술계 미치는 영향과 과제’ 보고서를 18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4월 사이 취소·연기된 현장 예술행사은 2500여건으로 피해액은 약 523억원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 여파로 문화예술인 대다수(88.7%)는 전년 동기대비 수입이 줄었다. 특히 서울(1614건), 경북(156건), 부산(150건) 순으로 피해가 컸다.

예술인 대부분은 코로나19사태가 종료 된 이후에도 수입에 변화가 없거나 감소할 것(84.1%)으로 예상했다. 이 위기가 단숨에 반등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추정이다. 특히 충북(100.0%), 전북(90.9%), 경북·충남(86.7) 지역 순으로 향후 수입 증가에 대해 부정적 시각을 나타냈다.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예술인 10명 중 9명(92.7%)은 예술계 권익대변과 국민 문화향유권 확대를 위해 법적기반을 갖춘 종합예술단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예술인이 체감하는 예술정책, 창작환경, 향후 기대 등을 수치·체계화하는 ‘문화예술 환경체감지수(ASI : Arts Survey Index)’(가칭) 개발·도입도 요청했다.

예술인은 현장 예술인 및 단체 피해에 따른 생활·운영자금 지원 등 긴급 조치가 가장 시급할 것으로 판단했다. 청년·신인 예술가 작품거래 활성화로 지속가능 창작환경 조성을 위해 힘써 달라는 요구도 나왔다. 이를 위해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운영하는 ‘문화누리카드’의 사용을 ‘예술전문 온라인 쇼핑몰 아트샵#’에 대해 100% 적용할 것을 제안했다.

이범헌 한국예총 회장은 “크게는 국가적 위기지만 현장예술인에게는 직면한 생계 위협”이라며 “현장 예술인 및 단체의 피해에 따른 생활·운영자금 지원 등 긴급 조치가 필요하며 조속한 추경 편성과 집행을 요청한다”고 전했다.

한산한 대학로. 뉴시스

한국예총이 보고서를 발간한 날 문화체육관광부는 추가 대책을 마련했다. 공연이 취소돼도 고정비용 지출로 어려움을 겪는 소극장 200곳을 대상으로 한 곳당 최대 6000만원까지 지원한다. 공연 제작비도 보탠다. 공연예술단체 160곳을 선정해 규모에 따라 2000만원에서 2억원까지 차등 지원한다. 관람료 지원도 추진한다. 예매처별로 공연 관람객 300만명에게 1인당 8000원 상당의 할인권을 제공한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