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소 다로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도쿄올림픽 취소·연기론이 확산하는 상황에 대해 ‘올림픽이 40년마다 취소되는 저주를 받았다’는 망언을 해 논란이 일고 있다.
18일 NHK에 따르면 아소 부총리는 이날 참의원 재정 금융위원회에 참석해 과거 올림픽 취소 사례를 거론하며 “1940년 삿포로에서 열려야 했던 동계 올림픽이 취소됐고, 이후 1980년 (러시아) 모스크바 대회도 서방 국가들의 보이콧으로 날아갔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1980년에서)40년이 지나면 올해다. ‘저주받은 올림픽’이라고 하면 언론이 좋아할 만한 말이지만 현실이 그렇다. 40년마다 문제가 일어나는 것이 현실”이라고 토로했다.
아소 부총리는 이 자리에서 아베 총리의 ‘완전한 형태’의 올림픽 개최 발언에 대해서도 추가 설명했다.
그는 “완전한 형태의 정의는 여러 가지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전제를 깔면서도 “적어도 190개국 사람이 참가할 수 있으며, 각각 공평한 형태의 예선을 받아 일본에 와서 시합을 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완전한 형태”라고 했다.
그러면서 “무관중 시합은 생각하기 어렵다. 역시 일본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 온 관객도 들어간 형태로 개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1년 연기라고 하면 꽤 힘든 선수가 나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대회가 없어지는 것도 생각하기 어렵고, (연기를 통한) 다른 시기(개최)라고 해도 방영권 등 여러 상업 문제도 얽혀있어 그렇게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아소 부총리의 실언은 이번뿐만이 아니다. 지난 1월 “일본은 2000년간 하나의 민족”이라고 말해 도마 위에 올랐고, 지난해 2월에는 저출산·고령화 문제에 대해 “노인이 나쁜 것처럼 말하는 이상한 사람들이 많지만 그건 틀렸다. 아이를 낳지 않는 쪽이 문제”라고 해 ‘2019년 최악의 성차별 발언’으로 꼽히기도 했다.
일본 지지통신은 아소 부총리의 이번 발언에 대해 예정대로 도쿄올림픽 개최를 바라는 일본 국민과 선수들에 대한 배려가 결여된 것이라며 논란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