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연기론 진화 바쁜 日…“IOC가 정상 개최 결정”

입력 2020-03-18 17:53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7월 정상 개최 의사를 밝힌 뒤에도 외신을 중심으로 도쿄올림픽에 대한 취소·연기론이 확산하자 일본 정부가 재차 진화에 나섰다.

NHK와 니혼게이자이 신문 등에 따르면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18일 오전 기자회견에서 “정부로서도 선수 여러분과 관객들에게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는 대회가 될 수 있도록 IOC와 도쿄올림픽 조직위원회, 도쿄도 사이에서 긴밀히 협력하며 준비를 착실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전날 IOC 성명 이후 나온 정부 고위당국자의 공식 발언으로 취소·연기론에 확실히 선을 그은 것이다. 앞서 IOC는 스위스 로잔에서 집행위원회 회의를 연 뒤 발표한 성명에서 “2020년 도쿄 올림픽에 전념하고 있다. 극단적인 결정을 내릴 때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지사도 IOC 성명을 두고 “갑자기 삿포로로 마라톤(개최지)을 옮긴 것도 IOC”라며 “IOC가 늘 그렇게 결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도쿄도로서는 몇 번이나 말씀드린 대로 취소는 있을 수 없으며 무관중도 있을 수 없다는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도 일본이 개최를 강행하며 억지를 부리는 게 아니라 올림픽 개최와 취소 권한을 가진 IOC 스스로 개최 의지를 보였다고 우회적으로 강조한 것이다.

하지만 일본 정부의 노력에도 도쿄올림픽 취소·연기론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뉴욕타임스·AP통신 등 외신은 의견 기사를 통해 시간이 지날수록 상황이 어려워지고 있다고 진단하거나 올림픽을 내년으로 연기하자고 제안했다. 여기에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출신 선수들을 중심으로 개최 강행에 대한 반발 여론도 커지고 있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