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WHO)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증상이 의심되는 환자들에게 해열진통소염제인 이부프로펜을 사용을 자제하라고 17일(현지시간) 권고했다. 이부프로펜은 한국에서 ‘어린이부루펜시럽’이나 성인용 알약인 ‘부루펜정’으로 팔리는 해열진통소염제의 성분이다.
중국 연구진은 A형 혈액형인 사람이 코로나19에 상대적으로 더 취약하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우리 방역당국은 두 사안에 대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며 입장 표명을 보류했다.
AFP통신에 따르면 크리스티안 린트마이어 WHO 대변인은 “이부프로펜이 특정 상황에서 부작용을 가졌는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며 “그동안에는 자가치료용으로 이부프로펜을 사용하지 말고 차라리 파라세타몰(Paracetamol)을 쓸 것을 추천한다”고 밝혔다. 파라세타몰은 약국에서 해열제로 팔리는 ‘타이레놀’의 성분인 아스트아미노펜의 다른 이름이다.
WHO의 이번 권고는 올리비에 베랑 프랑스 보건부 장관이 이부프로펜이나 이와 유사한 소염제의 투약이 코로나19 감염을 악화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트위터로 주의를 보낸 뒤 나왔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 본부장은 이날 오후 정례 브리핑을 통해 “WHO의 언급은 인플루엔자 등 다른 바이러스성 감염증 발병 시에 아스피린과 같은 염증 소염제를 사용하지 않도록 권고하는 것과 유사하지 않을까 추정한다”며 “임상 영역이어서 발표 내용의 확인과 함께 추가로 진료 지침에 대한 권고가 필요한지를 전문 의료진들의 판단을 받아보겠다”고 말했다.
중국 남방과기대 등 8개 대학연구소와 의료기관 연구팀은 혈액형이 A형인 사람은 상대적으로 코로나19에 취약하며, O형은 상대적으로 더 내성을 가진다는 연구 결과를 같은 날 내놓았다. 이 연구팀은 코로나19 진원지인 우한시 진인탄 병원의 확진자 1775명을 조사했으며, 노인과 남성이 더 감염되기 쉽다고 덧붙였다.
윤태호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혈액형 O형이 코로나19에서 상대적으로 내성이 강할 수 있다는 중국 연구결과는 판단하기 어렵다”며 추가 연구를 통해 밝혀야 한다고 말을 아꼈다.
이어 “얼마만큼 객관적인 근거가 있는지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고, 한(가지) 논문에서 그러한 결과가 나왔다고 해서 과학적 사실로 받아들여 지기는 상당히 어렵다”고 말했다.
한명오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