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비상경제상황 극복 특단의 금융정책 등 지원 건의’

입력 2020-03-18 12:04

허성무 경남 창원시장이 18일 기자회견을 갖고 코로나19 비상경제상황 극복을 위한 특단의 금융정책 등 지원을 정부에 건의 했다.

허 시장은 최근 창원상공회의소에서 가진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산업위기 대응 간담회’서 논의된 현 위기극복을 위한 대응책으로 해외 핵심부품 기업을 불러들이는 리쇼어링 정책 추진 등을 정부에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허 시장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세계 경제가 침체될 경우 기계, 자동차 부품 등 수출 중심의 창원 기업은 더 크게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선제적 대응책으로 기업들이 건의한 방안들에 대한 세부과제들과 대응방안을 즉각 추진키로 했다.

또 허 시장은 간담회 당시 기업인들이 요청한 해외에 있는 핵심부품 기업을 불러들이는 리쇼어링 정책 특단의 인센티브 추진과 신용보증과 기술보증기금의 한시적 중복지원, 유동성 적기 공급 등을 정부에 건의할 계획이다.

허 시장은 “중국, 베트남 등 여러 국가에 진출해 있는 많은 기업들이 이번 코로나19로 공장가동에 어려움을 겪고 현지 공장에서 부품을 납품받는 국내기업들까지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인건비 등 각종 비용 절감을 이유로 해외에 나간 핵심부품 기업들을 국내로 돌아올 수 있도록 리쇼어링 정책 인센티브를 적극 추진해 제조업 경쟁력 강화와 일자리 창출로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러일으켜 줄 것”을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또 “현재 기술보증기금과 신용보증기금은 정책자금을 관리하는 기관으로 중복지원이 불가능해 현재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특수한 상황에서 기업 지원 강화를 위해 양 기금의 중복지원도 정부에 건의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금융시장과 외환시장의 불안으로 위험에 노출돼 있는 벤처기업과 중소기업들이 자금난으로 문을 닫는 일이 없도록 필요한 유동성 적기 공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다수의 기업들이 현재 심각한 소비위축으로 지역경제가 매우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하면서 기업이 중심이 돼 내수진작에 동참해야 한다는 의지를 밝히고, 기역 기업에 창원사랑상품권의 활용에 기업들의 적극 참여를 요청했다.

허 시장은 경제여건 전반에 어려움이 가중됨에 따른 다수의 기업 건의사항에 대해 시의 신속한 지원책도 밝혔다.

우선 시 자체 긴급경영안정자금을 500억원까지 확대 공급하고 금융기관 대출금리에 대한 이차보전율도 최소 3.5%에서 최대 5% 수준까지 상향해 제로금리에 가깝도록 지원 폭을 넓힐 계획이다.

또 감염증 대응 ‘사업장별 프로세서(대·중·소 기업) 백서’도 발간해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얻은 경험과 노하우를 기록으로 남겨 관내 기업들과 공유하고 활용할 계획이다.

올 하반기에는 현직 전문가를 투입해 기업 애로지원을 하고 있는 창원기업지원단을 확대해 고경력 기술명장들을 위한 ‘시니어 엔지니어센터’를 별도 운영하면서 이들이 가진 전문적인 기술·경영·경험 등 노하우를 중소기업 현장에 접목해 지역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 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허 시장은 기업규제를 최대한 발굴해 이를 철폐하는 등 기업지원을 위해 상반기 시 재정 신속집행도 약속했다.

허 시장은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는 코로나19도 창원시와 시민, 그리고 지역 기업이 함께한다면 반드시 이겨낼 수 있을 것이다”며 “이번 위기 극복의 힘을 토대로 올해 창원의 대도약과 대혁신의 원동력으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