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8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경제 충격에 대응하기 위한 경제주체들과의 원탁회의에서 “우리 경제의 핵심 주체들께서 ‘연대와 협력의 힘’으로 위기 극복의 주역이 되어 주시길 간곡히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청와대에 열린 원탁회의에서 “‘방역’과 ‘경제’ 양면에서 아주 엄중한 상황”이라며 “더 크게 걱정되는 것은 경제다. 그리고 민생이다. 몇몇 분야가 아니라 전 산업 분야가 위기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가 내수·소비 진작책을 담은 20조원 규모의 ‘민생경제 종합대책’에 더해 11조7000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했지만, 문제는 우리만 잘 극복한다고 해결되기 어렵다는 것”이라며 “전 세계가 함께 겪고 있는 문제라 경제 위기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과거 경제 위기 사례와 양상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전례 없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회의에는 경제단체장과 노동단체장들이 총출동했다. 재계에서는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 등이 참석했다. 노동계에선 김동명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김명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이, 금융계는 김태영 전국은행연합회 회장,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 윤종원 IBK기업은행 행장, 방문규 한국수출입은행 행장이 참석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 경제부처 장관도 모두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추경을 포함해 총 32조원에 달하는 대규모 지원을 실행할 것”이라며 “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는 물론 피해 소상공인·중소기업에 대한 긴급 경영안정자금 지원, 영세 사업장에 대한 임금보조, 저소득층 소비 여력 확충과 고용 유지 지원 등 민생경제 안정에 더욱 속도를 낼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특히 전례에 얽매이지 않고, 글로벌 경제 충격에 대응하면서 민생경제를 살리기 위한 선제적이고 과감하며 충분한 대책들을 추가로 이어나가고, 금융시장의 안정에도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어둠 속에 더욱 빛나는 우리 국민의 저력이다. 지금 우리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고 있지만, ‘마음의 거리’는 더욱 좁힐 때”라며 “정부는 ‘방역이 최선의 경제 대책’이라는 생각으로 감염병의 확산을 차단하고 경제를 지켜나가기 위해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