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中企 숨통 트일까…중기부, 추경 3조700억 확보

입력 2020-03-18 10:54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숨통을 틔워줄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이 통과됐다. 국회 심사과정에서 정부안보다 1조3809억원이 늘어나 민생 안정과 피해 복구 지원이 더욱 원활해질 전망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18일 2020 1차 추경안 국회 심사과정에서 3조667억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긴급자금 공급, 보증지원 등 금융지원 예산은 약 2조7000억원이 편성됐고, 피해 점포 및 경제활력 지원에는 4000억원이 편성됐다. 이 중 대구·경북 지원 예산은 1조원 수준으로 반영됐다.

17일 추경안이 통과되면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 최종 금융 지원 규모는 8조5200억원 수준으로 증가했다. 소상공인지원 융자가 3조1500억원, 지역신보재보증이 5조1800억원으로 각각 정부안보다 8000억원, 2조2700억원이 늘었다.

또 이번 추경에서는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 점포 복구 지원과 경영안정화 등을 위한 예산을 소상공인 성장지원 사업에 2526억원, 소상공인 재기지원 사업에 164억원 등 2690억원을 반영했다. 이를 통해 전국 19만8000개 코로나19 피해 점포를 지원하게 된다. 그 중에서도 대구·경북의 특별재난지역 17만7000개 피해점포가 중점적으로 혜택을 받는다.

확진자가 경유한 점포 2만9000개는 해당 지자체 신청을 통해 경영정상화를 위한 지원금을 점포당 300만원 지급받을 수 있다. 장기휴업점포의 경우 점포당 100만원, 특별재난지역에서 폐업한 점포는 철거비 및 원상복구비로 점포당 200만원을 지급받는 게 가능하다.

아울러 코로나19의 여파로 경기가 둔화됨에 따라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의 경제활력 보강과 민생안정을 위한 경제활력 지원 예산이 1383억원 반영됐다. 특히 오프라인 매장 중심의 소상공인에 피해가 집중되면서 소상공인의 온라인 진출 지원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지원이 집중됐다. 구체적으로 온라인쇼핑몰입점 지원에 100억원, O2O플랫폼에 15억원이 배정됐다. 이에 따라 중기부도 2021년 예산 등을 통해 앞으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온라인 시장 진출 정책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이번 추경 예산으로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한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직접적 경영피해, 경기둔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경영난 해소와 활력 회복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진영 기자 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