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피해 확산 땐 ‘대선 불리’ 판단
뉴욕증시 급등…약발 먹히는 듯
미 의회도 코로나19 위기 극복 초당적 협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로 위기에 빠진 미국 경제를 살리기 위해 1조 달러(1200조원) 규모의 천문학적 경기부양책을 들고 나왔다. 트럼프 행정부는 또 미 국민에게 현금 1000달러(120만원)를 직접 지급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현금 폭탄’ 정책은 일단 약발이 먹히는 것으로 보인다.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1048포인트(5.20%) 급등한 2만 1237에 거래를 마쳤다.
코로나19 사태 초기에 위험을 경시했던 트럼프 대통령이 강력한 경제부양책을 들고 나온 것은 코로나19 피해가 미국 내에서 더욱 확산되고, 이로 인해 경제침체가 장기화될 경우 올해 11월 대선에서 불리해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미 의회가 초당적으로 코로나19 대책에 힘을 합치는 것도 트럼프 대통령에겐 큰 힘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가진 언론 브리핑에서 경제부양책을 설명하며 “우리는 크게 가겠다(going big)”고 강조했다. 경제부양책에 대해서도 “이것은 매우 크고, 과감한 패키지”라고 의미 부여했다.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은 이날 오후 의회에서 공화당 상원의원들을 만난 뒤 경제부양 규모와 관련해 “큰 숫자”라며 “경제에 1조 달러를 투입할 제안을 테이블에 올려놨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현금 지금 정책도 1조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의 일환이다.
므누신 장관은 백악관 브리핑에서 “미국인들은 지금 현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수표(checks)를 미국인들에게 즉시 제공하는 방법을 들여다보고 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수표가 ‘향후 2주 안에’ 전달되기를 원한다”고 설명했다.
므누신 장관은 1000달러의 지급액과 관련해 “조금 더 클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므누신 장관은 또 “우리가 1년에 100만 달러(12억)을 버는 사람들에게 수표를 보낼 필요가 없다는 것은 명확하다”고 말했다. 고액 소득자는 현금 지급에서 제외하겠다는 의미다.
트럼프 대통령도 현금 지금 방침을 거론했다. 그는 “급여세도 (긴급보조의) 한 방법이지만 몇 달이 걸릴 수 있다”면서 우리는 매우 빠르고, 매우 정확하게 (미국인들에게) 현금을 지급하는 방법들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WP는 트럼프 행정부의 이번 경기부양책은 미 역사상 최대 규모의 긴급 재정보조 패키지 중 하나라고 전했다. 미국의 여야 모두 코로나19 대책이 신속히 마련돼야 한다는 공감대를 갖고 있어 의회도 법안 처리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