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정치개혁연합’이 아니라 ‘시민을 위하여’를 4·15 총선 비례대표용 연합정당 플랫폼으로 선택했다. 촉박한 시일 때문에 일단 플랫폼을 정해 ‘개문발차’한 것이라는 입장이지만, 민주당이 비례연합정당 운용 과정에서 주도권을 잡기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민주당은 17일 기본소득당·시대전환·가자환경당·가자평화인권당과 함께 비례연합정당에 참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그동안 두 플랫폼에 지속적으로 통합을 요청하고 설득했지만, 통합이 불발되면서 비례연합정당 추진 일정이 촉박해 졌다”며 “시민을 위하여가 창당 등록과 정당 교부증을 받은 유일한 플랫폼이라는 점 때문에 신속하고 질서있는 비례정당 추진이 가능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민주당이 참여 정당의 이름을 착각해 한 차례 수정된 보도자료를 보내는 해프닝도 벌어졌다.
하지만 이같은 결정이 결국 민주당이 향후 비례연합정당 운용 과정에서 주도권을 잡기위한 포석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당초 정치권에선 민주당이 민주화운동 원로들이 중심이 된 정치개혁연합과 연대할 것이란 관측이 많았다. 정치개혁연합은 녹색당·미래당 등 기존 군소 원외정당들이 중심이 되는 형태로 추진돼왔지만 몇 가지 쟁점에서 이견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시민을 위하여는 자체 후보를 내지 않고 오로지 ‘1회용 용기’로서의 기능만 할 것이라는 입장을 강조해왔다.
민주당은 “플랫폼 선택 문제로 참여를 결정하지 못한 녹색당, 미래당, 또 정치개혁연합과의 플랫폼 통합 가능성은 이번주까지는 문호를 열어놓을 계획”이라고 여지를 남겨뒀다. 당 관계자는 “민주당은 함께 참여하는 군소정당에게 충분히 의석을 배분하고, 선거 뒤엔 (플랫폼 정당) 해산 원칙을 고수 중이다. 녹색당과 미래당도 동의한다면 함께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정치개혁연합은 시민을 위하여와 함께할 수 없다는 뜻을 수차례 피력해왔다.
민주당이 시민을 위하여와 손을 잡으면서, 비례연합정당 논의 과정에 ‘조국 그림자’가 드리워지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나온다. 시민을 위하여는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을 지지하며 검찰 개혁을 주장했던 개혁국민운동본부 세력이 참여한 곳으로 ‘친문(친문재인)’ ‘친조국’ 색채가 상대적으로 강한 곳으로 평가받는다.
비례대표 후보 선정 과정에서 친문 지지자들이 원하는 인물들이 대거 포함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예를 들어 지난 16일 사의를 표명한 최강욱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의 비례대표 출마 가능성도 여권 안팎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신재희 박재현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