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방위비분담금협정(SMA) 체결을 위해 두 달 만에 마주앉게 된 양측이 장외에서부터 본격적으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우리 측이 한국인 근로자 무급휴직 사태를 막기 위해 인건비 선타결 방안을 제시하자 미국 측이 이를 재차 일축한 것이다.
미 국무부 관계자는 16일(현지시간) “협상에서 인건비만 따로 떼어내 별도의 협상을 하자는 한국 측의 최근 제안은 서로 수용 가능하고 포괄적인 SMA의 신속한 타결을 크게 저해할 수 있다”고 밝혔다고 미국의소리(VOA)방송이 보도했다.
미 국무부 측 입장은 정은보 방위비분담금협상대사가 출국 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했던 언급에 대해 답변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정 대사는 인천국제공항에서 기자들에게 “만약의 경우를 대비해 우리 측이 인건비 선타결 문제를 제기했다”며 “논의 과정에서 필요할 경우 그 부분도 논의할 생각을 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국무부 관계자는 한·미 양측이 공정한 협정을 체결하면 근로자 무급휴직 문제를 막을 수 있다는 원칙적인 입장을 밝혔다. 국무부 관계자는 “공정한 협정이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견해를 뒷받침하는 것”이라며 “동맹국과 파트너가 비용을 공정하게 분담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정 대사가 이끄는 한국 대표단은 이날 협상을 위해 로스앤젤레스(LA)에 도착했다. 한·미 양측은 이날 만찬을 함께한 뒤 17~18일 이틀 동안 협상에 돌입할 예정이다.
정 대사는 LA국제공항에 도착한 직후 기자들에게 “이른 시일 내에 SMA 본협상을 타결하는 데 우선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대사는 근로자 무급휴직 문제와 관련해 “본협상 타결이 여의치 않을 경우 우리가 이미 제안한 것들의 타결을 위한 노력도 같이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