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배 미래통합당 의원은 17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추가경정(추경)예산안과 관련해 “정부여당은 대구경북 지역 피해와 생존 위기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한 채 실질적 피해 지원 예산에 부정적인 입장”이라며 “정부여당이 실질적인 지원책을 가져오지 않는 한 오늘 내 추경 통과는 어려울 수 있다”고 경고했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통합당 간사인 이종배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해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 특별재난지역 이상 지원하겠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약속은 어디로 갔나”라며 “도대체 누구를 위한 정부인지 모르겠다. 추경이 코로나 추경인지도 의심스럽다”고 비판했다.
그는 “지난 일요일부터 어제 밤 늦게까지 (예결위) 간사 간 협의를 시도했지만 결국 불발에 그쳤다”며 “주된 이유가 (정부 추경안에) 대구경북 지원책이 미흡하기 때문이다. 정부가 대구경북지역을 위해 당초 편성한 것은 6200억원 대출 융자사업뿐이었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이어 “따라서 당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됐으니 자영업자, 소상공인 긴급 생존금 2조4000억원을 요구했다”며 “그런데 정부에서 가져온 추경안은 (당의 요구를) 형편없이 반영한 생색내기용밖에 안 된다. 긴급 생존금 반영도 안 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여야는 임시국회 마지막 날인 이날 오후 2시 본회의에서 ‘코로나 사태’ 대응을 위한 추경 예산안을 처리하기로 합의했다. 다만 협상 과정에서 상당한 진통을 겪어 추경안 통과가 불투명할 전망이다.
현재 여당은 위중한 상황을 감안해 추경 예산 규모를 늘리자는 입장이다. 야당은 총선을 앞둔 ‘선심성 현금 살포’ 예산을 감액하고 대구경북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 예산을 늘려 최초 정부안인 11조7000억원 수준에서 추경안을 편성해야 한다고 고집하고 있다. 여야 간사 간 협의체에서 합의를 도출하지 못할 경우 원내대표 연석회의에서 추경안 협상에 나설 가능성도 나온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