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인 ‘코로나19’ 누적 사망자 수가 2000명을 넘어섰다. 치명률로는 전 세계 1위다.
이탈리아 보건당국은 현지시각으로 16일 오후 6시 기준 전국 누적 확진자 수가 2만7980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날 대비 3233명(13%↑) 증가한 것으로 사흘 연속 3000명대 증가세다. 누적 사망자는 349명(19.3%) 급증한 2158명으로 잠정 파악됐다.
누적 사망자가 2천명을 넘어선 것은 지난달 21일 북부 롬바르디아주에서 첫 지역 감염 사례가 확인된 이래 24일 만이다. 하루 기준 신규 확진자와 사망자는 전날보다 각각 소폭 감소했으나 여전히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준이다.
하루 평균 각각 1165명, 90명의 신규 확진·사망자가 발생하는 상황이다. 누적 확진자와 누적 사망자 역시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다. 누적 확진자 대비 누적 사망자 비율을 나타내는 치명률도 7.7%로 전 세계에서 가장 높다. 한국(0.98%)의 8배에 달한다.
추이를 살펴보면 6.6%(11일)→6.72%(12일)→7.17%(13일)→6.81%(14일)→7.3%(15일) 등으로 14일 하루를 제외하곤 연일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다른 나라에 비해 지병을 가진 60세 이상 고령 인구의 감염 비율이 높은데다 특정 지역에 한꺼번에 많은 환자가 쏟아져나오면서 의료시설과 의료진·장비 등 부족에 따른 치료의 사각지대가 발생했기 때문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누적 사망자와 완치자(2749명)를 뺀 실질 확진자 수는 2만3073명이다. 누적 검사 인원은 13만7962명으로 한국(27만4천504명)의 절반 수준까지 올라왔다. 누적 확진자의 주별 분포를 보면 바이러스 확산의 거점인 롬바르디아 1만4649명, 에밀리아-로마냐 3522명, 베네토 2473명 등 북부 3개 주가 73.8% 비중을 차지한다. 이외에 피에몬테 1516명, 마르케 1242명, 토스카나 886명, 리구리아 667명, 라치오 523명, 캄파니아 400명, 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 386명, 풀리아 230명, 시칠리아 213명 등이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