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비례연합정당 깃발을 들자 원외 군소정당들이 하나둘 대열에 속속 합류하고 있다. 다만 민주당이 구상을 밝힌 지 하루 만에 비례연합정당을 둘러싼 크고 작은 잡음들 역시 속속 나오고 있다. 촉박한 시간 속 민주당이 제시한 시간표도 이미 어긋났다.
원외정당 중에선 미래당에 이어 녹색당이 16일 당원 투표를 통해 비례연합정당 참여를 결정했다. 기본소득당도 참여를 공식화했다. 중도실용주의를 표방하는 신생정당 ‘시대전환’도 참여에 무게를 두고 있다.
정의당은 불참 의사를 재확인하며 ‘민주당 때리기’에 집중했다. 정호진 선대위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민주당이 미래한국당의 반칙과 꼼수의 전철을 그대로 밟고 있다”고 비판했다. 민생당은 여전히 당내 의견이 엇갈려 17일 의원총회에서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정치개혁연합’과 ‘시민을 위하여’ 등 이른바 플랫폼 정당 간 통합 논의도 지지부진하다. 두 정당은 아직 통합 논의를 시작도 하지 않았다. 하승수 정치개혁연합 사무총장은 “참여 정당이 먼저 확정되는 게 순서”라며 “18~19일까지 참여 정당이 정리되면 이후 협의 과정에서 (플랫폼 문제는) 자연스럽게 정리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다만 최배근 시민을 위하여 공동대표는 tbs 라디오 인터뷰에서 “민주당이 오늘내일 중 (파트너를) 결정해야 할 텐데, 정당 등록이 완료된 곳은 우리밖에 없다”고 자신했다.
원외에서 연합정당을 추진해 온 세력을 중심으로 민주당이 주도권을 쥐는 것에 대한 불만도 나온다. 서우영 정치개혁연합 대변인은 “민주당이 일정·참여 범위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는데, 그럴 처지가 못 된다”며 “참여 정당들과 함께 협의해서 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호중 민주당 사무총장은 15일 기자간담회에서 오는 18일까지 참여 정당이 확정돼야 하고, 참여 범위를 ‘민주당의 정책 노선과 크게 차이 나지 않으면서 협력해나갈 수 있는 정당’으로 한정했다.
비례연합정당 기호를 앞번호로 끌어올리기 위한 현역 의원 파견 작업이 본격화됐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해찬 민주당 대표는 이날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강창일 의원과 오찬을 함께했다. 이 대표는 불출마를 선언하거나 공천에서 배제된 의원들과 오찬을 이어갈 예정이다.
리얼미터가 YTN 의뢰로 9일~13일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251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표본오차±2.0%포인트에 신뢰수준95%) 민주당은 37.7%로 지난주보다 1.1% 포인트, 미래한국당은 29.2%로 0.5% 포인트 올랐다(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