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찬 “추경넘어 코로나 뉴딜”…그 배경엔 기재부 있다

입력 2020-03-16 17:07
16일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난극복위원회 회의에 이낙연 위원장과 이해찬 당 대표, 이인영 총괄본부장(원내대표) 등이 입장하고 있다. 최종학 선임기자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가 16일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코로나 추경을 넘어 ‘코로나 뉴딜’이 필요한 시기”라며 기획재정부의 과감한 입장 변화를 재차 주문했다. 최근 코로나 추경 증액에 소극적인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경질까지 언급하며 압박했던 이 대표가 일종의 유화책을 제시한 것이다. 기재부는 여전히 국가채무비율이 악화될 수 있다며 추경 증액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 대표는 이날 코로나19국난극복회의에서 “방역만큼 중요한 것이 코로나19로 침체된 국민경제의 안정과 활성화”라고 말했다. 뉴딜 정책은 정부가 시장에 적극 개입해 대공황의 어려움을 극복하자는 프랭클린 루스벨트 미 행정부의 방안이다. 이 대표는 “피해지역의 생계 및 주거 안정비용, 장례비용, 고교 학자금 면제, 제세공과금 납부유예 등을 (정부가) 조속히 시행해달라”며 “당장 현금 지원은 어려워도 세금납부 유예 같은 지원책은 전국으로 확대를 검토하겠다”고 했다.

이 대표가 ‘코로나 뉴딜’을 언급한 데에는 기재부가 한층 나아간 대책을 마련해 달라는 의미가 있다. 당 관계자는 “뉴딜은 기존의 재정 규율이나 당시의 경제적 상식을 뛰어넘은 정책”이라며 “기재부가 재정건정성이나 규율에 묶인 측면이 있는데, 코로나 추경이란 틀에 얽매이지 말고 뉴딜처럼 새로운 상상력을 동원해 보자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당 정책위원회에 코로나19 확산으로 피해를 본 취약계층에 현금 지원 등의 다양한 방안 마련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재부는 여전히 난색이다. 이른바 ‘곳간’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이번 추가경정예산 통과시(정부 제출 기준) 정부 임기 내 국가채무비율은 45.7%까지 올라간다. 100%를 넘어가는 미국 일본 등에 비해 여력이 있지만, 미국은 기축통화국이고 일본은 국채 대부분을 중앙은행 등이 소화하는만큼 우리와는 상황이 다르다는 것이다.

과감한 재정 확대로 경제가 살아나면 얘기는 달라지겠지만 기재부는 현 상황을 고려하면 재정 확대 효과도 불투명하다고 본다. 지금처럼 소비·투자가 끊긴 상황에서 현금 투입 효과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기재부는 이런 이유로 재정 투입 규모를 키우기보다 ‘핀셋 처방’ 등 추경 사업을 조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시중금리 상승에 대한 우려도 있다. 정부가 빚을 늘리면 시장에 풀리는 국채 물량이 많아져 시중금리가 오르는 요인이 된는데 이 경우 한국은행이 금리를 인하해도 기준금리와 시중금리가 어긋나 금리 효과가 줄어들게 된다.

박재현 기자, 세종=전슬기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