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에 따라 한국인에 대한 입국 제한 조치(16일 기준 140개국)가 확대하면서 부산지역 제조업 피해가 현실화하고 있다.
부산상공회의소(회장 허용도)는 16일 한국인의 입국이 사실상 금지된 중국·일본·베트남 등 3개국에 국외법인이나 사업장을 둔 부산의 주요 제조기업 50여 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입국 제한에 따른 영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피해사례를 보면 해외 사업장에 엔지니어를 파견하지 못해 공정이 지연되면서 피해를 호소하는 기업이 많았다. 중국 수리 조선소에 제품을 납품하는 A사는 직원을 파견하지 못해 감리와 제품 시운전을 하지 못해 막대한 피해를 보고 있다고 호소했다.
자동차부품을 제조하는 B사 역시 현지 공장에 설비 유지보수 기술자를 파견해야 하지만 입국 제한으로 공정 유지에 애를 먹고 있다. 단조 제품을 생산하는 C사도 제품 성격상 수출계약에는 바이어 미팅이 필수적이지만, 상황 장기화로 계약 차질이 우려된다.
아예 해외 출장을 포기한 기업도 있다. 조선 기자재를 생산하는 D사와 화학제품을 제조하는 E사는 해외 출장을 모두 취소하고 관련 비즈니스를 당분간 진행하지 않겠다고 했다. 철강선을 제조하는 F사는 출장 포기로 모든 신규거래가 올 스톱된 상태다.
지역 제조업들은 이에 따라 화상회의나 전화·팩스·메일 등을 활용해 거래를 이어가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다. 석유제품을 제조하는 G사는 화상회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로 하고 일본·베트남 거래처와 실무협의 중이다. 베트남에 신발 제조 공장은 운영 중인 H사는 현지 공장과 이메일, 전화 등으로 업무를 진행 중이지만, 항공노선 축소·중단으로 원부자재 수급이 원활치 못해 설비 가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편 부산본부 세관에 따르면 지난달 부산의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1% 감소한 10억 달러, 수입은 11.4% 감소한 8억2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대 중국 수출은 8.7% 감소했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춘절 연휴 연장과 현지 공장 가동 중단에 따른 것으로 지난 1월(-12.8%)에 이어 2개월 연속 감소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