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개학 추가 연기의 필요성을 SNS 댓글로 논의하는 과정에서 정규직 교직원을 ‘일 안 해도 월급 받는 그룹’이라고 지칭한 것에 대해 15일 사과했다.
조 교육감은 이날 오후 8시쯤 페이스북에 “문제가 될 수 있는 표현을 쓴 점 진심으로 죄송하게 생각한다”며 “개학 연기를 두고 조정돼야 할 여러 사안을 고민하다가 나온 제 불찰”이라고 적었다. 아울러 “선생님들께 깊이 사과드린다”고도 했다.
이어 “엄중한 코로나 국면에도 학교에서 헌신하고 계신 분들을 이리저리 나누거나 차별할 의도는 추호도 없었다”며 “현재 모든 교육공동체 여러분께서 애를 쓰고 계시는데 그 와중에도 소외되거나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없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쓴 글이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에 대한 적극적인 국가적 대책도 필요하다는 생각”이라고 했다.
조 교육감은 전날 페이스북에 개학을 한 차례 더 늦추는 것이 필요한지를 묻는 글을 올렸다. 그는 이후 시민과 댓글로 의견을 나누는 과정에서 “학교에는 ‘일 안 해도 월급 받는 그룹’과 ‘일 안 하면 월급 받지 못하는 그룹’이 있는데 후자에 대해서는 추가 연기 시 비상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는 방학 등 학교가 휴업했을 때 일하지 않고, 임금도 받지 않는 ‘방학 중 비근무 학교 비정규직’에 대한 생계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미였으나, 마치 정규직 교직원은 일하지 않고도 월급을 받는다는 부정적 의미로 읽히면서 논란이 거세졌다.
실언이라는 지적이 계속해서 제기되자 조 교육감은 결국 해명에 나섰다. 그는 “개학연기에도 불구하고 학교에서 비상근무를 하시며 학생들의 학습과 안전을 책임지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계실 (정규직 교직원들의) 모습이 눈에 선하다”면서 “본의 아니게 마음이 상하신 모든 분께 다시 한번 사과의 말씀을 올린다”고 했다.
현재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급식조리원 등 ‘방학 중 비근무자’에게 휴업수당을 지급하라고 교육당국에 요구하고 있다. 이달 1일 새 학기가 시작하며 방학이 끝났으므로 ‘방학 중 비근무자’도 학교에 출근해 일해야 하지만, 교육당국의 학교 휴업 결정에 따라 근무가 어려우니 근로기준법상 휴업 수당을 지급해달라는 것이다.
방학 중 비근무자는 서울에만 1만여명, 전국적으로는 10만여명으로 추산된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