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보수’ 출신은 자발적 퇴직?…통합당 당직자 고용갈등도

입력 2020-03-15 18:06
황교안(오른쪽 세 번째) 미래통합당 대표와 심재철(왼쪽 세 번째) 원내대표 등 참석자들이 지난 2일 서울 영등포구 미래통합당사 앞에서 당사 현판식을 하고 있다. 뉴시스

공천 잡음으로 시끄러운 미래통합당이 자유한국당과 새로운보수당 출신 당직자 간의 고용 갈등까지 불거졌다. 미래통합당은 ‘신설 합당’으로 출범했으나, 새보수당 출신 당직자들 다수는 합류하지 못하고 있다.

새보수당 출신 당직자들은 15일 ‘우리는 미래통합당 사무처 당직자입니다’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내고 “통합당 총무국은 새보수당 출신 당직자에게 개별 면담을 통해 희망퇴직과 보상금만을 이야기하며 자발적 사직을 강요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정상적 근로계약을 체결한 사무처 당직자로서 일방적 희생을 강요하는 희망퇴직 안을 제시받을 이유가 없다”며 “한국당 출신은 전원 고용 승계를 하면서 새보수당 출신에겐 가혹한 희생을 이야기하는 게 납득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근로기준법을 근거로 “미래통합당은 정당 간의 합당으로 탄생한 만큼 (새보수당 출신) 당직자들은 출신 문제로 인해 차별이나 배제될 하등의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통합당 출범 이후 새보수당 출신 당직자 10여명 중 4명만이 계약직 형태로 채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나머지 새보수당 출신 당직자들은 통합당에 합류하지 못한 채 옛 새보수당 당사로 출근하고 있다.

통합당 사무처 노동조합도 입장문을 내고 “탈당과 대선 패배 이후 사무처 당직자들은 50여명이 구조조정을 당했고 최근까지 희망퇴직 신청 등 당 재정난으로 고통받았다”며 “(새보수 당직자 고용의) 추가 논의는 절대 불가”라고 반박했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