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이 어땠길래’…코로나 피해 지원 활발한 은행권

입력 2020-03-15 18:00 수정 2020-03-15 18:34

신한은행은 15일 자사 고객상담센터(콜센터) 직원들이 재택근무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다. 은행권에서 콜센터 인력을 재택근무로 전환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신한은행은 16일부터 콜센터 직원 448명 가운데 우선150명(33.5%)에 대해 재택근무를 하도록 했다. 상황 악화 시에는 250명(55.8%)까지 확대된다. 재택근무 직원에게는 주거지에 업무용 노트북 상담시스템과 인터넷 전화를 설치해줬다. 사무실과 동일한 환경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재택근무 시행으로 발생하는 콜센터 사무실의 공석을 활용해 좌석 간격을 조절하고, 좌석 사이 칸막이 높이를 기존 60㎝에서 97㎝로 높여 사내 감염 예방 조치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같은 재택근무 실시는 최근 콜센터가 코로나19 집단감염지로 급부상한데 따른 조치다. 타 금융사들의 벤치마킹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앞서 신한은행은 코로나19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에서도 눈길을 끌었다. 신한은행은 피해 기업에 대해 신용등급을 3단계 상향 조정한 수준에서 금리 한도 등을 결정하도록 했다. 또 4개월내 만기가 도래하는 대출의 경우, 심사 없이 일괄적으로 6개월 만기 연장을 해주면서 심사기간을 단축 시행하고 있다.


최근 금융위는 코로나19피해 지원과 관련, 금융사들을 대상으로 현장 점검을 한 뒤 결과를 발표하면서 신한은행의 이같은 사례를 소개했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금융사들이 피해기업 지원을 활발하게 시행 중이다. KB국민은행은 ‘심사 신속지원반’과 ‘현장지원반’을 운영하고 있다. 코로나19 피해기업이 대출을 신청하면 전담심사역을 배정해 최우선 심사하고 있다.

하나은행도 전 영업점에서 ‘코로나19 금융지원 전담창구’를 운영 중이다. 관할 구청의 피해사실 증명이 없어도 영업점 재량으로 피해기업의 지원 여부를 판단한다. 우리은행도 ‘신속 대출심사 프로그램’을 도입했고, NH농협은행도 ‘비상금융지원위원회’를 만들어 시행 중이다.

은행권의 이같은 행보는 최근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나 라임자산운용의 펀드 환매 중단 사태 등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권에 대한 불신이 높아진 상태인만큼, 신뢰를 회복하고 분위기를 쇄신하는 차원으로 봐도 무방히다”고 말했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