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양상이 악화하면서 정부는 모든 국가에서 오는 입국자에 대해 특별입국절차를 적용하기로 하고 준비에 들어갔다.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을 통해 ‘특별입국 대상국을 확대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을 받고 “예상컨데 조만간 전체적으로 입국하는 모든 내외국인에 대해 특별입국절차가 필요하지 않나 싶다”고 답했다.
이어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현상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라며 “이제 특정한 나라를 구분해 특별입국절차를 적용하는 게 별로 의미가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것 역시 실무적으로 행정력이 충분히 따라갈 수 있는지, 어떤 준비가 필요한지 등을 따져서 가능한 한 이른 시일 안에 전 입국자에 대한 특별입국절차를 시행하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현재 코로나19 유입을 막기 위해 유럽 주요국, 중국, 일본, 이란 등 9개국에서 출발해 국내로 들어오는 여행자의 경우 특별입국절차를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국가를 방문하거나 체류했던 여행자는 내국인, 외국인 구별 없이 모두 이전보다 깐깐한 검역을 걸쳐야 한다. 일대일 발열 검사를 받아야 하고, 기침·가래·인후통 등의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있을 시 사전에 알려야 한다. 입국 과정에서 검역관이 특별 검역 신고서를 확인한다.
또, 국내에서 머무르는 곳의 주소와 수신 가능한 전화번호를 보고하고 본인의 건강 상태를 모바일로 보고할 수 있는 ‘자가진단 앱’을 설치해야 한다. 이틀 이상 ‘관련 증상이 있다’고 보고할 경우 보건소가 의심 환자인지, 아닌지를 판단해 진단 검사를 안내한다.
이같은 조치는 지난달 4일 중국 본토를 시작으로 12일 홍콩·마카오, 지난 9일 일본, 12일 이탈리아·이란발 입국자에 대해 시행됐다. 이날 0시부터는 프랑스·독일·스페인·영국·네덜란드에서 출발한 여행자들에게도 확대 적용됐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