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는 못 잡는다… 세종청사 확진 못 막은 ‘발열 체크’

입력 2020-03-16 06:00
사진은 기사와 무관합니다. 연합

한국의 행정업무 중심지인 정부세종청사마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에 뚫리면서 방역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정부는 세종청사의 모든 연결통로를 차단하고, 출입구에서 열화상 카메라를 설치해 발열 체크를 하는 등 예방조치를 강화하고 있다. 그런데 확진자 중 무증상자도 있기 때문에 일부에선 발열 체크가 별다른 실효성이 없는 것 아니냐고 비판한다. 전문가들은 발열체크가 완벽하지는 않더라도 ‘촘촘한 그물망’ 역할은 하고 있다고 입을 모은다. 다만 감염경로 등 역학조사를 철저히 하는 것을 병행해야 확실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15일 집단감염 사태가 발생한 해양수산부 건물(정부청사 5동)내 공간을 일괄 방역했다고 밝혔다. 이날 기준 해수부 전체 검사 대상자 795명(공무원·파견직원·공무직 및 용역업체 직원 등) 중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확진자는 27명이다. 나머지 768명은 음성 판정을 받았다.

세종청사에서 집단감염 사태가 발생함에 따라 정부는 각종 통로 폐쇄와 함께 청사 출입구에 설치했던 열화상 카메라를 기존 48대에서 69대로 늘려 발열 등 코로나19 의심증상자를 조기에 발견토록 했다. 세종청사뿐 아니라 대부분의 공공기관, 다중이용시설, 공항, 철도역사 등에서는 발열체크를 기초 방역 체계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해수부 확진자 중 일부는 호흡기 증상이나 열이 나지 않는 ‘무증상자’라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발열 체크에 대한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게 나왔다.


전문가들은 발열 체크가 예방조치로서의 효과는 있다고 언급한다. 중국의 확진 사례를 기준으로 발열 증상은 코로나19 확진자 중 90%에게서 나타났기 때문에 발열 체크만으로 대부분의 확진자를 거를 수 있다. 권준욱 방대본 부본부장은 “중국 확진자의 사례만 놓고 본다면 발열은 방역을 위한 명확한 조건”이라며 “대중이 모이는 장소에서 발열 감시를 진행하는게 국제적인 지침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발열 체크로도 걸러지지 않는 확진자는 산술적으로 10% 정도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다만 발열 체크가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열이 나는 유증상자가 해열제를 먹으면 발열 체크에서는 걸러지지 않을 수 있다. 또 비접촉식 열화상 카메라의 경우 날이 추울 경우 오작동을 일으킬 가능성도 있다. 버스나 지하철과 같은 일반 대중교통은 수많은 이용자들을 한 명씩 발열 체크하는 것도 사실상 불가능하다. 공항의 경우 발열 체크를 통해 검역망에 걸리는 확률은 약 50%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감염이 발생한 곳부터 확산 경로까지 명확한 조사를 해 ‘연결고리’를 끊고,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예방조치를 강도 높게 유지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김탁 순천향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원인불명의 확진자들이 늘어나는 형국이라 증상이 조금이라도 있는 사람은 자가격리를 하고, 식사 등을 다같이 하지 않도록 조직문화를 바꾸는 등 다각도의 예방조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세종=전성필 기자, 최지웅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