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오후 대구와 경북 청도·경산·봉화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때문으로 자연재해가 아닌 감염병으로 인한 첫 선포 사례다.
특별재난지역은 국가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한 경우가 대상이다. 관련 피해 사항을 조사하고 복구비의 50%를 국비에서 지원한다. 사망·부상자 구호금 전기요금 통신비 도시가스요금도 감면한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면 자연재해가 아닌 감염병으로 인한 첫 선포 사례다.
특별재난지역 선포는 각 지역 대책본부장인 시도지사가 요청하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본부장인 총리가 중앙안전관리위원회 심의를 거쳐 대통령에게 건의하면 대통령의 재가로 이뤄진다. 앞서 권영진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지사가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요청했다. 정 총리는 문 대통령과 이에 상의했다면서 문 대통령에게 정식 건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정 총리는 이날 오전 관계 장관들과 비공개회의를 열고 특별 재난지역 선포에 따른 구체적인 지원 범위와 대상 기준 등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오후에는 긴급경제상황점검회의를 열어 주가 폭락과 환율 급등 등 대내외 경제 동향과 대응 방안을 점검하고 이어 중대본 회의를 개최한다.
한편 대구에서는 15일 0시 기준 41명이 추가 확진돼 누적 확진자 6031명을 기록했다. 감소세가 50명 이하로 떨어져 24일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것이다. 경북에서는 확진자가 6명 추가됐다. 사흘째 한지릿수 추가 확진자 발생이다. 누적 확진자는 1097명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아직 안심할 단계가 아니다"면서 "고통을 2주만 더 감내하자"고 밝혔다. '코로나 19 종식 328 대구운동'을 제안했는데 오는 28일까지 2주간 모든 방역 역량을 집중하고 시민 이동을 최소화해 대구에서 발생하는 환자를 한 자릿수 이하로 만들자는 운동이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