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추가 개학 연기가 불가피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교육 당국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개학을 더 미루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조 교육감은 14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일차적으로는 개학연기가 불가피하다고 사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국내는 일부 진정세가 있지만 WHO가 ‘글로벌 대유행(팬데믹)’을 선언해서 각 국이 더욱 근본적인 대책을 취하고 있는 상황이 됐다”며 “또한 현재 코로나 대책의 핵심은 ‘사회적 거리두기’인데 개학은 이러한 코로나 대책 자체에 정면으로 반하는 것으로 매일 교실과 학교에서 다중 밀집 회합이 이루어지는 걸 의미한다”고 적었다. 추가 개학 연기가 필요한 이유를 설명한 셈이다.
하지만 23일 이후로 개학을 미뤄도 수업 결손과 수능 연기 등 어려움이 있다. 조 교육감은 “공무직을 포함한 방과 후 학교 강사와 사립유치원 원비 문제, 수업 결손 문제, 수능 연기 등 난제들이 역으로 부각되게 된다”며 “부모님들에게서 ‘더 버티기 어렵다’는 이야기가 들려오고 아이들도 ‘근질근질해’ 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시교육청은 이달 23일 개학 계획에 맞춰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대응 방안을 마련해 왔다. 급식을 ‘일렬 식사’로 진행해 가능한 밀집을 최소화하고, 확진자가 나온 학교를 폐쇄하는 경우에 대비한 온라인 학습 방법을 고안하는 식이다. 또 3주 개학연기에 따른 수업 보충과 마스크 문제 등에 대한 대책도 수립 중이었다. 하지만 코로나19 집단 감염 현상이 곳곳에서 나타나면서 추가 개학 연기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이에 따라 조 교육감도 “개학연기가 불가피하다고 사고하고 있지만 (여러분의) 지혜를 구한다”며 고민을 털어 놓은 것으로 풀이된다.
교육부는 추가 개학 연기 여부와 관련해 다음 주 중 입장을 발표할 계획이다. 노홍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통제관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정부 내에서 방역 당국과 교육부가 개학연기에 대해 논의를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임주언 기자 e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