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분증 도용당했다” 신고 잇따라…여전한 마스크판매 혼선

입력 2020-03-13 16:49
13일 오후 시민들이 서울 중구 명동 거리의 한 약국에서 마스크 5부제로 판매하는 공적마스크를 구매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뉴시스

마스크 판매 5부제가 시행된 가운데 신분증을 도용하거나 의도적으로 주민등록번호를 틀리게 해 공적마스크를 구매한 것 같다는 신고가 잇따라 접수됐다. 일부는 주민등록번호를 수기로 입력하는 과정에서 착오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지만 경찰은 의도적으로 신분증을 도용한 사례가 있는지 자세히 검토하고 있다.

경기 일산동부경찰서는 “12일 오후 2시쯤 서울 동대문경찰서에 자신의 신분증을 도용해 공적마스크를 구매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고 13일 밝혔다. 신고자 A씨는 “마스크를 구매하려고 긴 줄을 섰는데 운전면허증을 제시하니 이미 구매를 했다고 했다”며 “10여년 전 분실한 신분증이 도용된 것 아닌지 의심된다”고 말했다.

동대문경찰서는 한 남성이 고양시 일산동구 마두동의 한 약국에서 A씨의 주민등록번호로 마스크 2장을 구매한 것을 확인하고 일산동부경찰서로 사건을 넘겼다.

하지만 확인 결과 약국측 실수로 드러났다. 경찰은 “해당 약국의 CCTV와 구매 당시 결제한 체크카드 명의자를 특정해 수사한 결과, 약국 측에서 중복구매확인시스템(DUR)에 생년월일 중 생일 두 자리를 잘못 입력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13일 오후 시민들이 서울 시내의 한 약국에서 마스크를 구매하기 위해 줄을 서고 있다. 연합뉴스

또 광주 북부경찰서에도 다른 사람이 자신의 명의로 마스크를 구매했다는 신고가 들어왔다. 경찰은 12일 오전 50대 여성 B씨로부터 경북의 한 약국에서 자신의 신분증이 도용됐다는 신고를 접수하고 관련 여부를 수사하고 있다.

이런 신고는 경찰뿐 아니라 보건당국에도 잇따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관계자는 뉴시스에 “개인정보가 도용돼 공적마스크를 사지 못했다는 민원이 콜센터와 인터넷 등을 통해 많이 접수되고 있다”고 말했다.

약사의 입력 실수를 비롯해 일부 구매자들의 의도적인 중복 구매 등 판매 일선에서도 혼란은 여전하다.

경기 파주시 내 자연약국에서 근무하는 이정수(43) 약사는 뉴시스와의 인터뷰에서 “며칠 전 접속자가 몰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사이트가 마비돼 구매자 정보를 수기(手記)로 적으라 한 뒤 정상화된 사이트에 입력해 보니 이미 구매한 사람들이 많았다”며 “실수로든, 의도적으로든 이런 일을 현장에서 보면 씁쓸한 마음이 크다”고 말했다.

이화랑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