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오리젠(趙立堅)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2일 본인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미군이 우한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가져온 것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중국이 코로나19 최초 발원지가 아닐 수 있다는 중국 의학 전문가의 주장에 정부가 힘을 싣는 행보로 해석된다.
자오 대변인은 “로버트 레드필드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국장이 11일(현지시간) 미 하원에 출석해 독감으로 죽은 사람처럼 보였던 사람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며 “CDC가 현장에서 딱 걸렸다”고 전했다. 이어 “미국에서 언제 첫 환자가 발생했는지, 감염된 사람은 몇 명인지, 병원 이름은 무엇인지”라며 의문을 제기하고 “자료를 공개해라! 미국은 우리에게 제대로 된 설명을 내놓아야 한다”며 핏대를 세웠다.
그러면서 “레드필드 국장은 미국 하원에서 일부 독감 사망자가 실제로도 코로나19에 감염됐다는 것을 인정했다”며 “미국은 ‘미국독감’으로 2만명의 사망자와 3400만명의 확진자가 있다고 보고 했는데 이것이 얼마나 코로나19와 연관이 있는지 설명해야 할 것”이라고 으름장을 놓았다.
다만 트윗에 주장에 대한 근거는 찾아볼 수 없었다. 자오 대변인은 중국 외교관 중 최고의 ‘쌈닭’으로 불린다. 지난달 말부터 외교부 대변인의 직책을 맡고 중국이 ‘코로나19 발원지’라는 불씨를 잠재우기 위해 외교 전면전에 나섰다.
중국 외교부의 또 다른 대변인인 화춘잉(華春瑩)도 전날 트위터를 통해 “미국독감 진단을 받았던 일부 사례 중 실제 코로나19가 존재했다”며 “이 병을 ‘중국 코로나바이러스’라고 부르는 것은 부적절한 처사다”라고 강조했다.
중국의 코로나19 발원지 책임 떠넘기기는 시간이 지날수록 명확해지고 있다. 처음 책임 떠넘기기에 화살을 당긴 사람은 중국 최고 감염병 권위자인 중난산(鐘南山) 중국공정원 원사였다. 그는 지난달 27일 기자회견에서 “코로나19가 중국에서 가장 먼저 출현했지만, 꼭 중국에서 발원했다고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후 중국은 관영 언론을 통해 중 원사의 주장을 대대적으로 퍼 나르며 독감 환자가 대거 발생한 미국이 ‘발원지일 수 있다’는 선전전을 시작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달 4일부터 코로나19 발원지를 부인하는 명분 만들기에 앞장섰다. 자오 대변인과 화 대변인의 입을 통해 “코로나19를 ‘중국 바이러스’라고 멋대로 칭하는 것은 중국이 전염병을 만든 나라라는 누명을 씌우려는 것”이라는 주장을 펼쳤다.
중국 일부 매체는 ‘중국이 코로나19로 세계에 준 교훈’과 같은 기사를 통해 막대한 희생을 감수한 중국 덕분에 전 세계가 시간을 벌었다며 “세계가 중국에 감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명오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