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역사상 최악의 폭락세를 기록했다.
12일(현시시간)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2352.60포인트(9.99%) 하락한 21200.62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9일 2013.76포인트(7.79%) 무너진 지 사흘 만에 또다시 2000포인트를 웃도는 대폭락 장세가 재현됐다. 이는 지난 1987년 블랙 먼데이(-22.6%) 이후로 최대 낙폭이다.
뉴욕증시 전반을 반영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와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나란히 10% 가까이 떨어졌다.
S&P500지수는 260.74포인트(9.51%) 내린 2480.64에, 나스닥지수는 750.25포인트(9.43%) 내린 7201.80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 개장과 동시에 폭락세를 보이면서 주식거래가 일시 중지되는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됐다.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된 것은 지난 9일에 이어 사흘 만이다. S&P500 지수가 개장한 뒤 5분 만에 7%대로 낙폭을 키우면서 192.33포인트(7.02%) 하락한 2549.05에서 거래가 중단됐다. 이후 거래는 재개됐지만, 낙폭은 더 커졌다.
이날 증시는 전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 국가로부터의 미국 여행 중단을 발표했지만 이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 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인 재정 부양책이 없었기 때문이다. 여기에 여행 중단 조치로 인한 항공업계와 관광업계 추가 타격 이어져 3대 지수 선물이 일제히 하락했다.
CNBC에 따르면 이날 미 크루즈 기업 로얄캐리비안 주가는 26.6% 급락했으며, 카니발크루즈라인, 노르웨이안크루즈라인 주가도 각각 19%, 27.6% 하락했다. 유나이티드항공, 델타항공, 아메리칸항공 등 주요 항공사 주가도 12% 이상 떨어졌다.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 변동성지수(VIX)는 이날 64까지 치솟았다. 시장에서는 미국 뉴욕증시 120년 역사에서 가장 충격적인 사건인 1987년 ’블랙 먼데이’ 이후로 최악의 하루라는 평가가 나온다.
엑센셜 웰스 어드바이저의 팀 코트니 최고투자책임자는 “지난밤 우리를 타격하는 매우 많은 일이 동시에 일어났다. 대형 조직과 대규모 경제권이 변화하고 있으며,향후 30일에서 60일 동안의 생활은 그 이전과 매우 다를 것”이라며 코로나19 혼란이 지속해서 불안을 야기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증시 불안이 극심해지자,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또 나섰다. 연준은 3개월물 환매조건부채권(Repo·레포)을 이날과 다음 날 각각 5000억 달러 한도로 운영한다고 전격 발표했다. 연준의 전격적인 조치에 주요 지수는 낙폭을 일시적으로 줄였지만, 다시 하락하는 걸 막진 못했다.
신은정 기자 se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