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비례연합당 참여 여부를 묻는 24시간 전체 당원 투표에 돌입했다. 소수정당들도 당원 투표를 실시키로 하는 등 속속 비례연합 전선으로 모이고 있다. 민주당 당원 투표 결과가 나오면 비례연합당 구성 작업이 본격 시작될 전망이다.
민주당 지도부가 주도하는 비례연합 전략은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당원 투표가 시작된 12일 오전부터 권리당원 게시판에는 불만이 쏟아졌다. 지도부가 비례연합당 참여 찬반만 물을 것이 아니라, 단독 비례정당 창당 여부도 물어야 한다는 주장이 대다수였다. 민주당 비례대표 후보를 지지하고 싶은데 비례연합당을 만들면 다른 정당 후보를 지지하는 결과를 낳게 돼 표심의 왜곡이 일어난다는 이유다. 또 비례연합당을 통해 국회에 들어온 다양한 세력이 민주당과 안정적 협력 관계를 이룰지 담보할 수 없다는 논리도 들었다. 일부 소수 당원들은 ‘명분론’을 앞세워 비례연합당 없이 원칙대로 선거를 치러야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여러 시나리오 중에서 비례연합당이 최적의 선택지란 게 민주당 판단이다. 단독 비례당은 위험 부담이 너무 크고, 비례연합당을 꾸리면 원내1당을 지킬 수 있다는 계산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일각에선 이런 계산에 대해 의구심을 나타낸다. 당 전략기획위원회가 의원들을 설득하며 제시한 시뮬레이션안에는 지역구 의석을 130석으로 전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민주당이 갖고 있는 지역구 의석 116석보다 14석을 더 얻어야 한다. 서울과 수도권에서 크게 흔들리지 않고 지난 총선에서 국민의당에 뺏긴 호남 의석을 대부분 되찾아온다고 봤을 때 나오는 전망치다.
비례연합당에 반대하는 의원들은 이런 전망치를 지나치게 낙관적이라고 본다. 비례연합당에 대한 반감으로 지역구에서 의석을 대거 잃을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김해영 최고위원은 “명분은 없고 실익은 조심스러운 경우”라고 주장했다. 박용진 의원도 “서울과 수도권에서 아슬아슬하게 이긴 곳이 26곳에 달한다. 중도층이 지지를 철회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지난 20대 총선에서 5000표 이하로 승부가 갈린 곳은 서울 16곳, 경기 14곳에 달한다.
비례연합당을 구체화하는 작업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후보 등록 마감일인 27일까지는 2주가량 남아 일정이 빠듯하다. 우선 민생당과 미래당, 녹색당 등 원·내외 정당과 협의해야 한다. 민생당은 비례연합당 참여 여부를 두고 내홍을 겪고 있다. 녹색당은 13일~14일 당원 투표를 통해 참여를 결정한다. 미래당도 긍정적으로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논의의 틀도 통일해야 한다. 현재 정치개혁연합(정개련)과 시민을위하여, 정봉주 전 의원과 손혜원 의원이 만든 열린민주당으로 나뉘어 있다. 의원 파견 문제도 있다.
상당한 진통이 예상되지만 현재 거론되고 있는 연합 대상들은 대부분 참여할 것으로 관측된다. 리얼미터가 오마이뉴스 의뢰로 11일 전국 18세 유권자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민주당과 정개련, 시민을위하여, 열린민주당이 모두 합류했을 경우 정당지지율이 39.6%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린민주당이 빠질 경우 미래한국당보다 1.3% 포인트 지지율이 낮게 집계됐다(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