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각) 한국에 대한 여행 제한 조치 완화 가능성을 언급한 것에 관해 청와대는 “한·미 사이의 고위 외교채널을 통한 설득이 작용했다”고 밝혔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미국이 유럽국가의 미국 입국 30일 제한 조치를 한 반면, 한국에는 여행 제한 조치 완화를 언급한 것은 청와대 국가안보실 등 외교 채널의 설득과 노력이 작용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미국은 현재 한국에 대한 여행 경보를 3단계인 여행 재고로 설정하고, 대구의 경우 4단계(여행금지)를 적용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중국과 한국의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이들 국가 상황이 개선되는 것에 따라 우리는 조기 개방 가능성을 위해 현재 시행 중인 여행 제한과 경보를 재평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정부가 미국행 출국자에 대해 사전 검역을 철저히 하고, 어느 나라보다 투명하게 검사와 확진자를 공개하고 있다는 점을 미국 쪽에 강조했고, 미국 쪽도 한국의 방역 시스템을 선진적이라고 평가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청와대 내부에서는 미국이 유럽 국가들에 대한 입국 제한 조치를 하면서 경제적 파장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이번 조치가 무역 의존도가 높은 한국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외에도 추가 경제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문재인 대통령도 SNS에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세계적 대유행)’을 선언한 것에 대해 “국내적으로 코로나19의 큰불을 잡고, 더 이상의 확산을 막으면서 진화에 들어가려는 우리에게도 큰 위협이 아닐 수 없다”며 “그로 인한 세계 경제와 우리 경제의 타격도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호승 청와대 경제수석도 이날 연합뉴스TV에 출연해 “시장안정과 내수 경기 부양에 필요하다면 과감하고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여권에서 나오고 있는 재난기본소득에 대해서는 “취지는 공감하지만 규모, 재원 조달 방법, 누구에게 줄 것인지에 대해 충분한 국민적 공감대가 있어야 한다는 신중한 생각”이라고 말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