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의 파도’ 오나…코로나19 수도권 확산 판가름할 4대 변수

입력 2020-03-12 16:47 수정 2020-03-12 16:53
정세균 국무총리와 박원순 서울시장이 12일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한 서울 구로구 코리아빌딩을 찾아 이성 구로구청장으로부터 설명을 듣고 있다. 서울시 제공

지난 8일 서울 구로구 콜센터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발생해 수도권에서 가장 많은 집단 감염으로 이어지면서 수도권 확산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수도권은 인구밀도가 높고 다중이용시설이 많아 한명의 확진자가 발생해도 집단 감염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상존해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12일 “(구로구 콜센터가) 제2의 신천지 사태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면서 “서울시가 지금부터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달려 있다”고 말했다. 대구·경북지역의 확진자 수가 크게 줄어든 상황에서 수도권 확산 여부가 ‘코로나19와의 전쟁’ 성패를 가르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콜센터·PC방 등 다중이용시설을 통한 전파 가능성=콜센터, 노래방, PC방, 클럽 등 밀접 접촉공간은 신천지 집회 장소처럼 집단 감염의 온상이 될 수 있다. 구로구 콜센터에서는 현재 102명의 확진자가 발생했고 서울 동대문구 한 PC방에서는 비슷한 시기에 4명이 코로나 19 확진판정을 받았다. 경남 창녕에서도 코인 노래방과 관련해 6명이 확진 판정을 받은 적이 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417개 민간 콜센터에 대한 전수 조사에 착수했다. 시는 또 PC방, 코인 노래방, 클럽, 콜라텍 등 장시간 밀접접촉이 이루어지는 영업장소에 대해 특별 대책을 마련했다. 우선 영업장소에 대한 방역조치를 지원하고 이용객들이 마스크 착용, ‘한 자리 건너 앉기’ 등 위생수칙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집중 점검하기로 했다. 점검결과 코로나 19 확산방지를 위한 조치가 미흡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즉시 폐쇄조치 행정명령을 내릴 방침이다.
지하철·버스 등 대중교통을 통한 전파 가능성=구로구 콜센터가 구로역과 신도림역에서 가까운 ‘더블 역세권’인데다 확진자들이 지하철과 버스를 주로 이용해 출퇴근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대중교통이 전파 경로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지하철이나 버스, 택시 등을 통한 코로나19 전파 사례는 보고되지 않고 있다. 서울시는 이용객 감소로 인한 적자에도 불구하고 지하철과 버스 운행을 줄이지 않고 있다. 혼잡도를 낮춰서 승객간 밀접 접촉을 줄이기 위해서다. 황보연 서울시 도시정책실장은 “지하철 9호선의 경우 코로나19 사태이후 혼잡도가 급행의 경우 125%, 완행은 87%까지 떨어졌다”며 “적자가 커졌지만 한산하게 열차를 운행해 밀접 접촉을 줄이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하루 600만명이 이용하는 버스이용 시민의 안전 확보를 위해 코로나19 감염예방 대응 매뉴얼을 마련했다. 다른 직업군에 비해 감염 위험에 쉽게 노출되고, 파급 위험성이 높은 운수종사자에 대한 특별관리 지침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매뉴얼에 따르면 확진환자가 버스에 탑승한 사실이 확인됐을 경우 해당 노선의 전체 차량 및 차고지 시설에 대한 소독을 2회 이상 실시하고, 확진자 탑승차량 운전원은 2주간 자가격리하면서 감염여부를 진단하게 된다.
박원순 시장은 “버스나 지하철을 통한 감염사례는 보고되지 않고 있다”며 “청정 교통수단으로 남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요양원 등 집단생활시설 신천지 교인 근무 가능성=요양원이나 복지관 등 집단생활시설에 신천지 교인이 신분을 숨긴 채 근무하고 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정부는 봉화 푸른요양원, 경산 제일실버타운 등 경북지역 요양시설을 중심으로 코로나19 집단 감염 사례가 늘자 전국 요양병원·요양시설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인 결과 1300명이 넘는 미검진 신천지 신도를 확인했다. 윤태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방역총괄반장은 10일 정례브리핑에서 “전국 요양병원, 노인요양시설, 전체 종사자 데이터와 신도명단을 비교해 아직 진단검사를 받지 않은 (신천지 교인) 1363명을 선별했다”며 “즉시 진단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치했다”고 밝혔다.
사회적 거리두기 역행하는 교회 예배·학원 수업 강행=서울시의 주도로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동참하고 있는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에도 불구하고 사랑제일교회 등 일부 교회가 주말 예배를 강행하고 있어 집단 감염 우려를 키우고 있다. 서울 강동구 명성교회 부목사와 서울 동대문구 동안교회 전도사가 양성 판정을 받아 주변 사람들이 감염된 사례가 있다. 또 초·중·고교 개학 연기에도 불구하고 일부 학원들이 수업을 강행하고 있는 것도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