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돌봄공백을 줄이고자 마련한 긴급돌봄 서비스가 여전히 학부모들로부터 외면 받고 있다. 돌봄시간 연장, 도시락 제공, 철저한 방역을 약속해도 신청률이 1%포인트도 늘지 않았다. 집단감염이 이어지는데다 마스크 대란 등으로 정부 신뢰도가 하락했기 때문이란 지적이 나온다.
12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 6~9일 진행한 긴급돌봄 3차 수요조사에서 초등학생 272만1484명 가운데 6만490명(2.2%)이 긴급돌봄을 희망했다. 긴급돌봄 서비스는 코로나19 여파로 전국 학교의 개학이 3주 미뤄지면서 유치원·초등학생 자녀를 맡길 곳이 마땅치 않은 맞벌이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추진됐다.
정부는 저조한 긴급돌봄 신청률을 올리기 위해 지난 6일 돌봄 시간을 오후 5시에서 7시로 연장하고, 점심 도시락도 제공하기로 했다. 그러나 2차 긴급돌봄 조사 때보다 불과 8206명 더 신청해 신청률이 0.3%포인트 올라갔을 뿐이다.
유치원도 사정은 비슷했다. 유치원 학부모는 3차 수요조사에서 61만9022명 가운데 8만2701명(13.36%)이 신청했다. 2차 조사 때는 61만9022명 가운데 7만7740명(12.56%)이 신청했었다. 신청률이 0.8%포인트 오르는데 그쳤다. 특수학교에서는 3차 수요조사에서 1315명(5.0%)이 신청했다. 신청률이 2차 때보다 0.4% 포인트 증가했다.
대전에서 유치원과 초등학생 자녀를 둔 직장맘 이모(35)씨는 “돌봄 시간이나 도시락이 문제가 아니다. 학부모들은 정부를 믿기 어려우니 내 아이는 내가 지켜야 한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며 “아무리 방역에 신경 쓴다 해도 집단감염 사례가 계속되고 있다. 학교 자체가 집단인데 께름칙하다”고 말했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이날 경기도 수원시 매탄초등학교를 방문해 긴급돌봄 현장 및 방역용품 비축 상황을 점검했다. 유 부총리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해 긴급돌봄이 꼭 필요한 학부모님들이 안심하고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안전한 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