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선언에 긴장한 북한, 수입품 소독도 철저 지시

입력 2020-03-12 15:42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12일 공개한 사진으로, 함흥시에서 방역요원들이 버스 내부까지 소독작업을 벌이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세계보건기구(WHO)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선언하자 북한도 바짝 긴장한 모습이다. 북한은 국경 검역을 더욱 강화하는 등 국가방역체계 재정비에 나섰다.

노동신문은 12일 수입품에 관한 검사·검역과 소독 규정 지침을 수정, 보완해 국경검사검역기관과 위생방역기관에 배포했다고 보도했다. 북한은 지난달 말 국경 지역 등에 소독 지침서를 보낸 바 있다. 노동신문은 “과학적이면서도 선제적인 (코로나19) 봉쇄 대책을 철저히 세워가는 데서 수입물자들에 대한 취급을 엄격히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지침 재작성 배경을 설명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달 말 개최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발언하는 모습을 조선중앙통신에서 28일 촬영, 보도했다. 연합뉴스

노동신문이 ‘수입물자 취급에서 지켜야 할 중요한 요구’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공개한 새 지침을 보면 소독약 규격과 소독 방식, 운송수단별 소독 방법 등이 구체적으로 설명돼 있다. 특히 수입품을 싣는 운송수단의 경우 선박과 열차, 화물차로 세분화해 분무소독 또는 훈증소독을 할 것을 당부했다. WHO가 11일(현지시간) 코로나19 팬데믹을 선언하면서 외부로부터의 바이러스 유입을 극도로 경계하는 모양새다. 북한의 대외선전 매체 메아리는 “코로나19가 세계적 범위에서 계속 전파되고 있는 가운데 WHO가 이 전염병을 세계적인 유행병으로 선언했다”고 신속히 전했다.

해외 출장자 또는 외국인과 접촉한 사람에 대한 의학적 감시 수준도 더욱 강화되고 있다. 노동신문은 하루 3차례 대외경제성 건물을 소독하고 있다고 전했다. 대외경제성은 무역, 수출입 업무를 관장하는 곳이다. 외국인과의 접촉이 잦으니 소독에 신경을 쓰는 것이다. 신문은 “(대외경제성) 종업원들에 대한 체온 측정을 하루 2차례 이상 진행하는 사업을 정상화하고 있다”며 “외국출장자, 접촉자들에 대한 의학적 감시를 강화하는 것과 함께 사소한 비정상적인 현상이 나타나면 즉시에 대책을 세우기 위한 조직사업을 빈틈없이 해놨다”고 전했다.

북한은 코로나19 차단을 ‘국가 존망’이 달린 문제로 규정하고 바이러스 유입 및 확산 방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최근 노동당 정치국 확대회의를 통해 ‘초특급’ 방역대책을 마련할 것을 주문하기도 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