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포퓰리즘” 재난기본소득 비판한 김병준

입력 2020-03-12 10:28
김병준 전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이 12일 오후 대구 중구 대봉동 김광석 다시그리기길 야외콘서트홀에서 진행된 저자 북콘서트에서 도서 소개를 하고 있다. 뉴시스

김병준 전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이 여권에서 등장한 재난기본소득 논의를 비판했다. 돈을 지급할 수는 있지만 기본소득 용어 사용이 적절치 않았다는 지적이다.

김 전 위원장은 12일 BBS 불교방송 ‘이상휘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재난기본소득 도입 주장을 향해 “기본소득제도는 그 자체로 굉장히 중요한 제도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문제와 섞으면 안 된다”며 “기본소득을 이 시기에 들고나온 것 자체가 잘못됐다. 기본소득조차도 코로나 포퓰리즘의 용어로 쓰려고 하는 거다. 정부가 무엇을 생각하고 국정을 운영하는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김 전 위원장은 이어 “제도의 성격을 알기나 하고 기본소득을 이야기하는 건지 모르겠다”며 “기본소득을 이야기하려면 소득 분배만 말해서는 안 된다. 산업과 경제가 활성화돼서 돈이 어디에서 들어오는가도 이야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선거만 생각하다 보니 기본소득이라는 중요한 제도를 갖다 댄다. 기본소득과 재난대책을 뒤섞는 이해하지 못할 행동을 하기 때문에 코로나 포퓰리즘이다”라고 비판했다.

김 전 위원장은 행정 당국의 산발적 메시지도 비판했다. 그는 “제발 합의를 먼저 봤으면 좋겠다. 당은 당대로 이야기하고 지방자치단체는 지방자치단체대로 이야기하고 청와대는 청와대대로 이야기한다”며 “국민을 희망고문한다. 자기들끼리 이야기하고 난 다음에 발표해야 집권당이고 집권 정부 아닌가”라고 말했다.

다만 김 전 위원장은 “돈을 배분하고 싶다면 재난대책을 세워 지급하면 된다”라며 재난기본소득 주장의 취지에는 동감했다.

김경수 경남도지사가 지난달 28일 오전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신천지 교인들에 대한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앞서 김경수 경남도지사와 이재명 경기도지사 등 일부 지자체 단체장들과 여권 일부 인사들은 재난기본소득 도입을 주장했다. 김 지사는 8일 경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금 한국경제의 가장 큰 문제는 내수시장에 돈이 돌지 않는다는 것이며, 내수와 수출이 동시에 위축되면 경제의 타격은 불가피하고 일자리 감소와 소득 감소로 이어져 내수시장이 더 얼어붙게 되는 악순환이 이어지게 된다”며 “지금은 국가 차원의 특단의 대책을 준비해야 하는 시기”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모든 국민에게 재난 기본소득 100만원을 일시적으로 지원할 것을 정부와 국회에 제안한다”고 했다. 이 지사도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김경수 지사님 의견에 전적으로 공감한다”고 썼다.

하지만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0일 재난 기본소득 지급에 동의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세계 경제기구에서 현금 직접 지원을 권고하고 있고 여당 내 도지사들도 재난기본소득 지급을 제안하고 있다”는 심상정 의원의 질의에 “저희(정부)도 검토해봤다. 여러 장점도 있지만 여러 문제도 있어서 쉽게 동의하기 어렵지 않나 생각한다”고 했다.

박준규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