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단체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대학가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개강 연기, 온라인 수업 등의 사태에 학생들 의견이 반영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전국대학학생회네트워크(이하 전대넷)는 11일 오후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코로나19로 빚어진 대학가 혼란의 책임은 학생들이 지고 있다”며 “정해진 것이 없다는 답변에 언제까지 학생들은 기다리고 통보만 받아야 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대넷은 ▲수업의 질을 담보하기 위한 대학본부와 교육부의 대책 마련 ▲등록금 내역 중 안전대책 마련에 지출한 경비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사용하지 않은 금액은 하반기 등록금 반환 등으로 환원하는 조치 ▲학생·학교 및 학생·교육부 간의 소통 채널을 확보할 것을 요구안으로 내세웠다.
전대넷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 실시한 ‘코로나19 대응 대학가 대책 관련 전국 대학생 긴급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1만5000여명 중 65.5%가 학사 일정 조정 과정에서 피해를 보았다고 답했다. 또 등록금 반환을 요구한 응답자는 84.3%, 학생·학교 및 학생·교육부 간 소통을 요구한 응답자는 93%에 달했다.
전대넷은 “코로나19 예방 과정에서 행사 취소, 개강 연기, 온라인 강의 전환 상황을 연달아 마주하면서 학생들의 혼란이 더욱 가중하고 있다”며 “오리엔테이션을 듣고 어떤 강의를 들을지 고민해야 하는 3월 첫 주에 제반 시설이 갖춰지지 않아 온라인 강의 업로드 여부도 확실하지 않은 수업이 대부분이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교수자와의 소통이 필요한 실기·실험·실습 수업, 수강신청 정정 등 대책 또한 오리무중”이라며 “심지어 수업이 녹음 파일 또는 유튜브 동영상으로 대체되거나 개강 연기 기간이 4주로 늘어나 강의 대책도 없이 한 달 내내 개강 날만을 기다리고 있는 학생들도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교육부와 정부 당국은 학생들의 입장을 고려해 방안을 제시할 책임이 있고 각 대학은 적절한 대응 방안을 학생들과 함께 논의할 의무가 있다”며 “코로나19로 대학가에서 발생한 문제를 함께 해결하고 학생들의 안전과 권리를 위해 머리를 맞대고 고민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화랑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