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대응 메시지를 놓고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최근 거의 매일 내놓는 문 대통령 메시지에 대해 청와대는 방역과 경제 파장을 모두 고려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방역 상황보다 낙관적이거나, 타이밍이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11일 코로나 신규 확진자 수는 242명으로 전날(131명)보다 100명 넘게 늘었다. 문 대통령은 최근 들어 코로나19 극복 가능성에 방점을 뒀는데, 방역 상황은 쉽게 따라가지 못하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9일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에서 확진자 감소세를 언급하며 “우리가 현재 추세를 계속 이어나가 신규 확진자 수를 더 줄이고 안정 단계에 들어간다면 한국은 그야말로 코로나19 방역의 모범 사례로 평가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10일엔 문 대통령이 한국 기업인의 해외 방문 허용 절차를 알아보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하지만 같은 날 서울 구로구 콜센터에서 집단감염 사태가 벌어지는 등 수도권으로 코로나19가 확산됐다. 전세계적 확산에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의 위협이 매우 현실화했다”고 경고했다.
청와대는 일일 확진자 숫자가 아니라 전체 추이를 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감소세는 흐름을 이야기하는 것”이라며 “하루 검진자 수와 확진자 수를 비율로 보면 완연한 감소세”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월 21일 국무회의에서 처음으로 코로나19 대비 관련 메시지를 냈다. 이후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와 국무회의, 현장 일정 등을 통해 코로나19 관련 메시지를 냈는데 특정 발언들은 논란에 휘말리기도 했다.
특히 ‘경제 활성화’를 강조하며 “코로나19는 머지않아 종식될 것(2월13일 경제계 간담회)”이라고 했던 발언은 여권 내부에서도 뼈아픈 실책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문 대통령의 종식 발언 이후 대구에서 신천지를 중심으로 한 집단감염이 발생하면서 확진자가 폭증했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오는 18일에도 경제계 간담회를 주재한다. 하지만 경제를 강조할수록, 방역 문제는 후순위로 미뤄진다는 우려도 있다. 청와대의 다른 관계자는 “코로나19가 진정세로 가면 그 이후엔 경제 문제”라며 “대통령이 당장의 방역을 최우선으로 하더라도, 중장기적인 경제에 대해서도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스크’ 공급과 관련된 메시지를 두고서는 문 대통령이 직접 송구하다고 사과하는 일도 벌어졌다. 문 대통령의 메시지 관리가 성공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윤태곤 더모아 정치분석실장은 “국민도 코로나19가 당장 호전되지 못하는 게 대통령 책임이라고 생각하지 않겠지만, 대통령은 상황을 확실히 장악하고 있다는 느낌은 줘야 한다”며 “마스크 문제에 오락가락한 것이나 두 차례의 섣부른 낙관론은 대통령 발언의 신뢰를 떨어뜨렸다”고 말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