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심한 경영 위기를 겪고 있는 두산중공업이 지난달부터 인력 구조조정에 돌입한 데 이어 일부 직원들을 대상으로 휴업을 검토하고 나섰다. 구체적인 휴업 방안이나 기간 등은 노동조합과 협의하겠다는 입장이나, 노조는 즉각 제안을 거부했다.
두산중공업은 11일 공시를 통해 “경영상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한 자구노력으로 일부 휴업을 검토 중에 있다”며 “노사 협의를 진행하기 위해 전날 노조측에 휴업 협의 요청 문서를 발송했다”고 밝혔다. 회사 측은 “창원공장 전체 또는 부문의 조업중단은 없다. 일부 휴업은 특정 사업 부문이 아닌 일부 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라며 “모든 부문의 사업에 지장이 없는 수준에서 유휴인력을 중심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두산중공업이 일부 직원의 휴업을 검토하게 된 것은 원자력과 석탄화력 프로젝트 취소로 인해 경영실적이 급격히 악화됐기 때문이다. 정부의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됐던 원자력·석탄화력 프로젝트가 취소되면서 약 10조원 규모의 수주물량이 날아간 상태다. 매출 비중의 10~20%를 차지하던 원자력 설비의 수주가 급감하고, 원전 공장 가동률은 50%대로 떨어졌다. 또 매출의 60~70%를 차지했던 화력발전 부문 역시 전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로 큰 타격을 받고 있다.
최근 5년간 두산중공업의 당기순손실은 1조원을 넘어섰다. 여기에 신용등급까지 하락하면서 경영 위기에 빠졌고, 급히 타개책 마련에 나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두산중공업이 경영 위기 극복을 위해 집어든 카드가 ‘고정비 절감’이다. 두산중공업은 지난달 20일부터 이달 4일까지 기술직·사무직 등 만 45세 이상 직원들을 대상으로 명예퇴직 신청을 받기도 했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근로기준법 46조와 단체협약 37조에 근거해 회사가 경영상의 이유로 휴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일부 직원들에게 평균 임금의 70%를 지급하고 일정기간 쉬도록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두산중공업 노동조합은 이날 사측의 휴업 협의 요청을 거부했다. 이성배 금속노조 두산중공업지회장은 “휴업 협의 요청을 거부한다는 내용의 공문을 사측에 발송했다”고 밝혔다. 이 지회장은 “회사의 경영 위기는 조합원들의 책임이 아니다”면서 “비상경영을 하려면 경영진의 사죄가 우선돼야 한다. 오너가가 사재출현, 사내유보금 사용, 두산지주 지원, 전문경영인 선임 등을 통해 위기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회사 측은 노조와 계속 협의하겠다는 입장이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