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무총리가 11일 “대통령이 늘 심각한 말만 할 수는 없다. 경우에 따라 자신감을 심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총리는 11일 오전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나라가 엉망인데 문 대통령은 (정부) 코로나19 방역이 모범 사례라고 한다. 대통령부터 모든 분들이 칭찬으로 국민을 희망 고문하고 있다”는 성일종 미래통합당 의원의 비판에 이같이 답했다.
정 총리는 “코로나19에 대해 정부는 처음부터 매우 엄중하게 보고 대응해왔다”며 “신천지 이전과 이후는 대응 자세나 근본 조치 사항들이 매우 달랐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이나 책임 있는 분들은 항상 심각한 말만 할 순 없다. 경우에 따라 자신감과 희망을 줘야 한다”고 설명했다.
정 총리는 성 의원이 “감염병을 막는 가장 기본이 차단과 격리다. 그 전초적 단계에서 차단을 잘했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을 하자 “정확한 평가는 조금 더 지난 다음에 해야 한다”고 답했다.
정 총리는 “가능하면 확진자가 생기기 시작하면 모든 (국가에) 문을 닫으면 제일 좋을 것이지만 대한민국은 무역을 해서 먹고사는 나라”라며 “위험성이 큰 후베이성 입국자를 입국 금지하고 또 다른 지역에 대해서도 특별입국 절차를 실시하는 등 실질적으로 중국으로부터의 유입을 차단하는 노력을 해왔다”고 강조했다.
통합당 송언석 의원이 ‘마스크 대란의 원인’을 따져 묻는 질문에는 “신천지 사태 전까지는 마스크 문제가 심각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정부가 (공급을) 1000만장 정도로 두 배로 늘려놓은 것”이라고 해명했다.
김유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