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은 코로나19 여파로 잠정 중단했던 채용을 화상면접을 도입해 재개한다고 11일 밝혔다. 지원자가 자택 등에서 노트북이나 PC 등 기기로 프로그램에 접속해서 회사 면접관과 질의응답하는 방식이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운동에 동참하는 동시에 일시적으로 중단된 채용을 정상적으로 진행하고자 화상면접을 도입했다고 회사는 밝혔다.
SK이노베이션은 전사적으로 ‘디지털 전환’에 나서면서 지난해 신입사원 공개채용 때부터 이미 구직자들의 질문에 답변하는 ‘챗봇’(Chat Bot)을 도입한 바 있다. 이번에 화상면접 도입과 함께 챗봇 서비스도 강화했다.
취업포털 인크루트에 따르면 LG전자도 경력직 지원자의 1차 실무 면접을 화상면접으로 진행한다.
카카오는 상시채용 지원자 면접을 모두 화상면접으로 전환했고, CJ그룹은 다음 달 진행할 일부 직군 공개채용에서 화상면접을 도입할 예정이다.
유튜브 등 온라인 채널로 채용정보를 전달하는 방식도 코로나19 사태와 맞물려 더욱 확산하고 있다. 주요 대기업들이 일제히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며 채용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IT업계 기업인 라인플러스와 이스트소프트 등은 올해 모든 상반기 채용 절차를 100% 비대면·온라인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기업들이 채용과정에서 방식을 다변화하고 있으나, 코로나19 여파로 상반기 공채 일정을 확정하지 못하는 기업들이 많다.
채용 일정이 줄줄이 밀리면서 하반기 공채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인크루트 설문조사에 따르면 구직자 5명 중 3명꼴(61.1%)로 코로나19로 인해 불안감을 느낀다고 답했다.
이성훈 기자 tellme@kmib.co.kr